신성장 4.0 민관협의체 간담회
기술개발 현황·경쟁력 분석
정부가 자율운항선박 가치사슬 기업과 한자리에 모여 기술개발 현황 및 경쟁력을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20일 울산에서 자율운항선박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신성장 4.0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K-조선의 약진, 트럼프 정부 속 한-미 조선 분야 협력 가능성 증대에 따른 우리 조선·해운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간담회에서는 초격차 기술 중 하나인 자율운항선박 분야 가치사슬 분석, 국내 기업의 경쟁력 진단, 향후 과제와 업계 애로 사항 점검이 이뤄졌다.
특히 자율운항 소프트웨어 및 기자재를 개발하는 업체(HD현대마린솔루션, 마린웍스, 씨드로닉스, 아비커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노스)와 조선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검인증 시험기관(한국선급,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해운사(팬오션, 한국해운협회) 및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참석해 우리 기술개발 현황과 경쟁력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운항시스템에 접목해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개입을 최소화한다.
2032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가 180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 신산업이다.
신상훈 단장은 “선제적 투자, 국제 표준 선점, 조선·해운 업계 중심 민관협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율운항선박 미래 성장동력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규제혁신과 산업진흥 정책을 통해 우리 조선산업이 세계 1위 자리를 지켜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간담회가 개최된 울산은 전국 조선·해양산업 생산액의 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울산 내 위치한 주력산업의 사업장 2207개 중 831개가 선박 사업장일 정도로 울산 지역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11월 기준 울산의 선박 생산지수는 137.5로 전월 동기 대비 28.1%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8년 4.6%에 달했던 실업률은 2024년 11월 2.6%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