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해외로 눈 돌려도 ‘캄캄’…트럼프 리스크에 K-건설 불확실성 ‘업’


입력 2025.02.24 06:00 수정 2025.02.24 06:00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해외 시장 타깃 건설사 수주 목표액 상향 조정

‘수주 텃밭’ 중동발 발주물량 감소 우려 증대

우크라 재건 및 美 수주 확대 등 긍정적 전망도

건설경기 침체와 국정 혼란 등으로 국내 주택사업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진 건설사들이 해외로 눈을 돌려 일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건설경기 침체와 국정 혼란 등으로 국내 주택사업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워진 건설사들이 해외로 눈을 돌려 일감 확보에 주력하고 있지만 시장 여건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 출범과 관세 전쟁 본격화, 중동 압박 등이 맞물리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해외 수주 영역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국내 부동산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주택사업 수익성이 악화하자 해외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겠단 전략이다.


이에 따라 수주목표액도 높게 잡았다. 주요 건설사의 연간 신규수주 목표액을 살펴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해보다 7000억원 높인 18조6000억원으로 설정했고 현대건설은 31조1412억원을 목표로 내걸었다.


대우건설은 올해 신규수주 목표액을 지난해보다 23.4% 증가한 14조2000억원으로 잡았다. DL이앤씨 역시 같은 기준 39.2% 확대된 13조2000억원을 목표치로 정했다.


정부도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이다. 지난해 누적 해외수주 1조 달러를 돌파한 이후 2조 달러 달성을 앞당기기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올해 정부의 해외건설 목표 수주액은 500억 달러다. 지난해 수주실적(371억 달러) 대비 34.8% 증가한 수준이다.


정부도 민간도 해외건설 포트폴리오 확장에 집중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 환경과 미국의 정치적 이슈 등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할 지는 우려와 기대가 공존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저 유가 정책과 중동 압박으로 그간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 텃밭으로 불리던 중동발(發) 수주 물량이 대폭 줄어들 수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중동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대응책 마련으로 발주 물량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올 들어 실제 중동 수주물량이 줄어드는 모양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올해 신규 해외 수주액은 14억7136만 달러 규모다.


지역별로 보면 ▲아프리카 3억9675만 달러 ▲중동 3억9445만 달러 ▲태평양·북미 3억4705만 달러 ▲아시아 3억2782만 달러 ▲유럽 496만 달러 ▲중남미 32만 달러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아프리카와 태평양·북미, 아시아 지역의 수주액이 각각 3016.7%, 79.6%, 10.2%로 두드러진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중동 지역은 38.5% 쪼그라들었다.


중동지역 수주 위축으로 불확실성 증대가 우려되는 가운데 해외 수주 저변이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될 경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체코·불가리아 원전사업 등이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


또 미국의 고강도 관세 정책을 피하기 위해 국내 기업의 미국 현지 생산·설비 투자가 늘어날 거란 점도 긍정적이다. 모 기업 투자 확대로 그룹 내 건설 계열사의 수주 확대 가능성이 커져서다.


공장 건설 계약 대부분이 공개 입찰이 아닌 수의 계약 방식으로 이뤄진단 점에서 미국 수주 물량 확보가 수월할 수 있다. 실제 2023년 국내 기업의 미국 수주액 99억8000만 달러 가운데 90%는 삼성전자 등 국내 제조사의 생산설비 프로젝트가 차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경기가 좋지 않아 해외에서 일감을 챙기려는 건설사들이 늘면서 전반적인 해외수주 규모는 확대될 수 있다”며 “다만 강 달러가 유지되고 미국의 산업보호주의 등으로 해외시장 역시 불확실성이 큰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러-우 전쟁 종식에 따른 재건 프로젝트 본격화는 당장 시기를 가늠하기 힘들다”며 “해외시장에서도 비용 증가 문제로 기존 발주사업이 차질을 빚는 경우가 적지 않아 실질적인 수익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