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ETI, 거대언어모델·모방학습 이용한 조립공정 자동화 기술 공개


입력 2025.03.12 15:10 수정 2025.03.12 15:10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AW 2025 통해 13개 로봇 AI기술 공개

자율제조 혁신 위한 전문가 포럼 주최

거대언어모델과 모방학습을 이용한 조립 공정 자동화 기술.ⓒ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을 통해 '거대언어모델과 모방학습을 이용한 조립 공정 자동화 기술' 등 총 13개의 로봇·인공지능(AI) 기술을 발표한다.


AI가 제조 현장에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물리 공간에서 이를 실행할 로봇이 핵심적이다. 각 제조 현장의 고유한 상황과 특성을 AI로 다루려면 로봇 시스템, 플랫폼, 소프트웨어, 부품에 대한 종합적 접근과 기술 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다.


KETI 지능로보틱스연구센터는 대표적으로 '거대언어모델 및 모방학습을 이용한 조립 공정 자동화 기술'을 공개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지시나 프로그래밍 없이 사용자가 자연어 형태의 입력을 통해 직관적으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이 기술은 모방학습을 활용하여 복잡한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거대언어모델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구체적으로 모방학습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시연을 통해 학습 데이터를 획득하고 로봇의 위치 정보와 3개의 카메라 정보를 활용하여 학습을 수행했다. 거대언어모델은 사용자의 자연어 명령을 모방학습 네트워크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직관적인 로봇 제어를 구현한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지원하는 로봇산업기술개발 사업의 '고난도 조립작업 교시 및 작업상태 인지 기반 자율작업 계획 솔루션 개발' 과제를 통해 추진됐다.


한편 KETI는 AW 2025 컨퍼런스인 'AI·로봇이 열어가는 자율제조 혁신포럼'을 개최해 자율제조의 핵심 기술인 AI, 지능형 로봇, 로봇AI 기반 자동화, 디지털 트윈 등의 최신 연구와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제조업의 혁신 방향을 모색한다.


행사에는 국내 로봇산업 주요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해 실제 제조업에서 적용된 로봇 기반 자율제조 사례와 성과를 분석하고 도입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임태범 KETI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이번 포럼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사이 로봇 기술의 협력과 확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됐다"며 "로봇 기반 자율제조가 국내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포럼은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지원하는 로봇산업기술개발 사업의 '빅데이터 활용 마이스터 로봇화 기반 구축' 과제와 '협업지능 기반 로봇플러스 경쟁력 지원 사업' 과제를 통해 진행됐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