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농진청, 소 버짐병 치료에 효과적인 신규 항곰팡이 물질 발굴


입력 2025.03.31 11:35 수정 2025.03.31 11:35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수과원과 공동 연구…실험 결과 임상증상 70% 이상 개선

소버짐병 치료.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국립수산과학원과 공동 연구로 수산 생물로부터 소 버짐병 치료에 효과적인 신규 항곰팡이 물질을 발굴하고, 치료 효과 검증과 산업체 기술이전을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소 버짐병은 주로 송아지에서 발생하는 곰팡이성 피부병으로, 원인균은 트리코피톤 베르코숨(Trichophyton verrucosum)이다. 재발이 쉬워 가축 성장과 생산성을 낮추는 만성 질병이다. 더욱이 사람에게도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국립축산과학원이 국내 95개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2022년 11월~ 2023년 2월 기준) 한 결과, 88%가 발생 경험이 있었다. 감염된 송아지의 평균 경매가격이 16만 9000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수산 생물 자원인 곤쟁이 유래 미생물(Serratia grimesii)에서 항곰팡이 천연 소재인 아미노피롤니트린(APRN)을 발굴하고, 이를 곰팡이(트리코피톤 베르코숨)에 감염된 실험동물 피부에 도포했다.


그 결과, 곰팡이 감염으로 인한 피부 임상증상이 대조군 대비 70% 이상 개선됐으며, 조직 내 곰팡이 감염이 75% 억제됐다.


소 버짐병에 걸린 한우 송아지 피부에 아미노피롤니트린을 도포한 결과, 부스럼 딱지(가피)가 떨어지고 탈모 부위에 털이 다시 자라는 등 임상증상이 대조군 대비 70% 이상 개선됐다. 외국산 항진균제(에닐코나졸)와 비교해도 임상학적 개선 효과가 유사하거나 더 좋았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항곰팡이 치료제 관련 특허 출원과 산업체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강석진 농촌진흥청 가축질병방역과장은“소 버짐병은 치료와 관리를 요구하는 주요 질병이다”며“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국산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앞으로 축산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게 협력업체와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