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세 번 만났지만, '추경' 논의는 못하고 '尹호칭' 신경전에 파행


입력 2025.04.01 05:30 수정 2025.04.01 05:30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박찬대, '대통령' 빼고 "윤석열"이라 부르자

권성동 "듣기 거북…'이재명' 불러도 되냐"

'한덕수·최상목 쌍탄핵'…본회의 일정 충돌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가진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 권 원내대표, 우 의장, 더불어민주당 박 원내대표,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여야가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산불 추경(추가경정예산)'과 국회 본회의 일정을 논의하기 위해 세 차례나 만났지만 아무런 소득 없이 헤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이 나흘 연속 본회의 개최를 주장하며 '한덕수·최상목 쌍탄핵' 추진을 시사해 국민의힘이 반발했기 때문이다. 권성동·박찬대 여야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호칭을 두고도 신경전을 벌이며 첫 만남부터 파국을 예고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31일 오전 우원식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회동을 갖고 추경과 4월 본회의 일정에 대해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특히 두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호칭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국민 불안과 피해가 증폭되고 있다"고 말하자, 권성동 원내대표는"듣기가 거북하다. 범죄 피고인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도 '이재명'이라고 불러도 되겠느냐"고 불쾌감을 표했다. 이어 "지금 이 자리에서 현직 대통령 이름을 '대통령'이라는 석 자를 붙이기에도 인색한 민주당"이라고 비판했다.


추경 규모에 대해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최상목 부총리는 전날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한다"고 했고, 한덕수 대행도 "4월 내 추진하겠다"고 힘을 보탠 바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정부의 '10조원 필수 추경' 방침에 대해 "여야 간 쟁점이 없고 반드시 시급히 처리해야 될 예산만 담았다"며 "산불 피해라든가 인공지능(AI), 통상 문제 대응을 위한 시급한 추경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추경을 먼저 시급하게 통과시킨 다음에 여당과 야당이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 구조를 만들어야 국민들께서 안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 원내대표는 정부가 제시한 추경 규모에 대해 "알맹이가 하나도 없는 쭉정이에 불과하다"며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규모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일갈했다.


이어 "최상목 부총리는 미 국채에 투자할 시간은 있고 우리 경제를 살릴 추경안을 마련할 시간은 없었는지 답해야 할 것"이라며 "과감한 투자만이 현재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 그때그때 찔끔찔끔 언 발에 오줌 누는 식 아니고 실질적이고 과감한 추경 편성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추경 심사 등을 위한 본회의 개의 횟수를 놓고도 팽팽히 맞섰다. 민주당은 내달 1일부터 4일까지 본회의를 열 것을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3월 임시국회 회기가 종료되는 내달 3일 하루 본회의를 열고 이후 4월 임시국회 일정을 조율하자고 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나흘 연속 본회의를 주장하는 것은 '한덕수·최상목 쌍탄핵'을 처리하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다. 탄핵소추안은 본회의 보고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 표결해야 하는 만큼 민주당이 쌍탄핵을 처리하려면 본회의 일정이 연달아 잡혀야 한다.


이후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은 "우리는 10조원이 너무 부족하다고 한 것이고, 그런 것들을 현안질의를 통해 알려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은 "추경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서 논의할 것도 아니고 논의된 바도 없다"며 "추경 문제는 각 상임위에서 다루고 예산결산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 오는데, 이를 뛰어넘고 본회의를 열자는 건 국회 관례에 맞지 않고 법리에도 맞지 않다"고 했다.


여야는 이날 오전 한 차례, 오후 두 차례 등 총 세 차례 회동까지 마친 뒤 이날 저녁 4차 회동을 갖고 합의에 나섰지만 결국 불발됐다. 국회의장실 관계자는 언론에 "(이날 저녁 8시로 예정됐던)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은 더 이상 없다"고 공지했다.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