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이정희, 강간미수 덮는게 진보냐" 분노
민노총 간부의 성폭행 미수 사건 은폐기도 정진후 비례 확정에 비판
"유시민 노회찬 추접스럽게 뭐하는짓이냐…나라도 낙선운동 벌이겠다"
[기사추가 : 2012년 3월 3일 오전 12시 20분]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2일 통합진보당이 최근 ‘개방형 비례대표’ 후보로 정진후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을 확정한 것에 대해 “통진당은 이미 글른(그른) 것 같다”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이날 오후 자신의 트위터에 “강간미수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 축소하려 한 의혹이 있는 정 전 위원장을 통합진보당에서 비례후보로 낸답니다. 성폭력 피해자 인권도 배려하지 않는 정당이 과연 진보일까요”라는 한 트위터러의 글을 리트윗한 뒤 “통진당 비례대표 철회하지 않으면 나라도 통진당 후보 낙선운동 해야죠”라고 밝혔다.
정 전 위원장은 2008년 민주노총 간부 김모씨가 전교조 소속 이모씨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당시 민주노총 지도부 등과 함께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
그는 “비례대표 6번이라니 통진당에 정당투표 3% 이상 주면 절대로 안 된다. 그 이상이면 정진후 당선된다”면서 “이정희 대표, 유시민, 노회찬씨. 지금 이게 뭐하는 짓이냐. 추접스럽게. 정당투표는 진보신당에 줘야겠다”고 질타했다.
그는 특히 “통진당 내에서 강간미수 사건이 일어나면 사건 덮는 놈이 비례대표가 된다. 이게 그들이 말하는 진보”라며 “이정희, 유시민, 노회찬표 진보는 조직을 위해 강간미수 덮어버리는 것”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그는 ‘성폭력 사건 발생 이후 나를 가장 힘들게 상처주고 아프게 한 것은 전교조 정진후 위원장을 비롯한 전교조 간부들’이라는 피해자 이씨의 ‘심경고백’을 인용, 정 전 위원장을 겨냥해 “자랑스런 통진당 비례대표이십니다”라고 했다.
그는 이어 “민통당(민주통합당)이나 통진당이 하는 꼬라지를 보니, 진보에도 이상돈-김종인 콤비가 필요할 듯. 근데 너무 늦었네요”라고 지적했다.
이른바 ‘민주노총 성폭행 미수 사건’은 민주노총 조직강화위원장이었던 김모씨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 등을 주도한 혐의로 수배 중이던 이석행 전 위원장이 경찰에 검거된 직후 이 전 위원장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던 전교조 소속 여교사 이모씨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다.
김씨는 이 전 위원장이 검거되자 이씨 등과 대책을 논의하며 ‘수사기관에 나가 진술할 때 이 전 위원장에게 도피처를 제공하게 된 경위를 우연히 이뤄졌다고 하라’고 허위진술을 강요했고, 그날 밤 이씨를 찾아가 여러 차례 성폭행하려 한 혐의 등이 인정돼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일각에선 김씨가 피해자인 이씨의 입막음을 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범행을 저지르려 한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됐었지만, 김씨는 “술에 만취해 우발적으로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피해자 이씨는 정진화 당시 전교조 위원장에게 성폭행 미수 사건에 대한 처리를 요구하는 상담을 했지만, 도리어 ‘조직을 위해 고소하지 말라’ 등의 말을 듣게 된다.
당시 정진후 전 위원장은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으로서 정진화 위원장을 보좌했다. 특히 정진후 전 위원장은 사건이 언론에 공론화되기 시작했던 2009년 2월 이후에는 위원장으로서 사건 해결에 있어 키를 쥐게 된다.
이씨를 지원하고 있는 성폭력 피해자 지지모임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전교조의 모든 사건 처리 과정의 책임자가 바로 정진후 전 위원장이었다”며 “전교조 성폭력징계재심위원회는 2009년 6월30일 조합원 정모씨, 손모씨, 박모씨의 2차 가해 사건과 관련해 조직적 사건 은폐 조장 행위에 대해 ‘혐의 없음’과 전교조에 헌신한 점을 들어 매우 경미한 ‘경고’ 조치를 결정해 피해 생존자에게 씻을 수 없는 고통과 상처를 안겨줬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같은 비판에 이정희 대표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나는 성폭력 피해자의 생존을 도와 소송해온 사람”이라고 전제한 뒤 “2차 가해에 대한 조직내 사후처리 중요성을 잘 알지만, 조직의 장이 열의를 갖고 시도했으나 피해자가 원하는 수준까지 발의안을 못 내고 의결을 이끌지 못했다고 하여 공직자격까지 부인하는 것은 무리라고 본다”고 정 전 위원장을 두둔했다.
이 대표는 특히 “정진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추천자에 대해 강간미수 은폐범이라는 등의 말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2차 가해자에 대한 징계를 재심의하라는 피해자의 요구를 조직에서 통과시키려 했으나 그대로 받아들여지도록 성공시키지 못한 데 대한 문제제기라 알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성폭력 피해자의 고통과 지지모임이 나누는 아픔이 계속돼 무척 안타깝다”면서도 “그러나 2차 가해자 범위를 늘려가거나 조직의 당시 수준이나 결정을 대표의 책임으로 지워 계속 추궁하는 것이 좋은 해결책일까요”라고 반문했다.[데일리안 = 김현 기자]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