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통진당 정진후 '강간미수 은폐' 논란 일파만파


입력 2012.03.06 16:52 수정         김현 기자 (hyun1027@ebn.co.kr)

당내 여성위원장 "비례대표 발탁 당원 동지들에게 사과하라"

이정희 대표 계속 옹호하자 진중권 "운동권의 조직보위논리"

통합진보당이 개방형 비례대표로 확정한 정진후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통진당은 최근 당선 가능권인 ‘개방형 비례대표’ 후보로 정 전 위원장을 비롯, 김제남 녹색연합 녹색에너지디자인 위원장, 박원석 전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을 확정했다. 당초 기대를 모았던 서기호 전 판사는 이 명단에선 제외된 채 당 비례대표 14번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정 전 위원장과 관련, 지난 2008년 민주노총 간부인 김모씨가 전교조 소속 교사 이모씨를 성폭행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처리 과정에서 민주노총 지도부 등과 함께 은폐하려고 했다는 의혹이 재차 부각되면서 당 안팎에서 “공천을 철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게 나오고 있다.

정 전 위원장은 사건이 발생했을 당시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있었으며, 이 사건이 본격적으로 공론화되던 2009년 2월 이후엔 사건 처리의 키를 쥔 전교조 수장이었다.

정진후 전 전교조 위원장(사진 가운데)이 29일 국회 정론관에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수락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이정희 통진당 공동대표는 “정 전 위원장을 (사건) 은폐자로 보는 것은 너무 확대시키는 것”이라고 정 전 위원장을 옹호하고 나섰지만, 비판론은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 대표는 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정 전 위원장은 성폭력 사건 당시 (사건 해결을 위해) 노력했던 사람”이라며 “공직을 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비례후보 철회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 유의선 통진당 공동여성위원장은 6일 한 언론과 통화에서 “대표단은 이번 결정에 대해 실망하고 있는 당원 동지들과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여전히 피해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정 후보에 대한 비례후보 확정은 철회돼야 한다”며 “정 전 위원장의 개방형 비례후보 결정은 일상에서의 여성주의 실현과 성평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진보정치가 구현하겠다고 하는 다짐과 실현의 과정을 무위로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 위원장은 이어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여성위원장으로 책임있는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위원장직 사퇴까지 언급했다. 앞서 유 위원장은 전날 ‘정진후 비례후보 확정은 철회되어야 합니다’라는 입장서를 당 대표단 회의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인 이모씨를 지원하고 있는 ‘민주노총 김OO 성폭력 사건 피해자 지지모임’도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지모임은 5일 기자회견을 갖고 “해당 성폭력 사건은 민주노총과 전교조의 후속조치가 이행되지 않는 등 아직도 미해결 사건으로 남아있고, 정 전 위원장은 해당 사건의 책임자였다”며 “그럼에도 노동자, 서민을 위한 진보정당이라는 통진당이 개방형 비례대표 후보로 정 전 위원장을 낙점한 것은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지지모임은 “정 전 위원장은 2009년 8월 대의원대회 전 피해자와의 만남에서 ‘대의원대회가 위원장이 사건 해결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나를 믿고 맡겨 달라. 선생님의 뜻을 받아들여 꼭 대의원대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지만,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등 문제를 회피해 왔다”고 질타했다.

지지모임의 한 활동가는 “통진당이 정 전 위원장의 공천을 취소하지 않을 시, 지지모임은 통진당에 대한 비판을 계속할 수밖에 없다”며 “비례대표 후보 등록을 거쳐 15일 투표 당일까지 최대한의 방법으로 문제제기 할 예정이며, 오는 8일 여성의날 대회와 통진당의 총선 결의대회에서 이 문제를 홍보하고 규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전 위원장을 둘러싼 논란에 기름을 부었던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에 “정진후 정리해야 한다. 그게 선거 승리를 위한 최소한의 전제조건”이라며 연일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진 교수는 최근 정 전 위원장에 대해 “강간미수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 축소한 사람”이라고 지칭한 바 있다.

진 교수는 이 대표의 발언에 대해 “이 대표의 해명, 그리고 피해자의 목소리, 둘 다 듣고 판단하세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운동권 특유의 조직보위논리입니다”라고 꼬집었다.[데일리안 = 김현 기자]

김현 기자 (hyun1027@eb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