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보 및 법률 전문가 배치" 민주 "본인들 의지 강하다"
여야가 28일 국가정보원(국정원) 정치 개입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 선임을 완료했다. 각 당의 ‘공격수’를 전면 배치한 것이 특징으로 향후 국정조사 특위위원 간 신경전이 치열할 것임을 예고했다.
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권성동 의원을 간사로 하는 특위위원 명단을 발표했다. 새누리당은 권 의원 외에 이철우, 김재원, 정문헌, 조명철, 윤재옥, 김태흠, 김진태, 이장우 의원까지 8명을 특위위원으로 선임했다.
권 의원과 김재원, 김진태 의원 등은 검사 출신이며, 권 의원과 김진태 의원 등은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이다. 정-윤-조 의원 등은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이며, 이철우 의원은 국정원 출신이다. 강 원내대변인은 “국정원에 대한 국조라 (관련)정보 및 법률에 대한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주로 배치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정조사가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기대하며 이를 계기로 국정원이 정치 중립적이고 국가 안위를 위해 일하는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다하는 기관으로 거듭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도 국정조사 특위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명단을 발표했다.
정성호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위원장으로 신기남 의원, 위원으로 정청래, 박영선, 김현, 박범계, 신경민, 전해철, 진선미 의원이 선임됐다고 밝혔다. 간사로는 정 의원이 임명됐다.
정-김 의원은 정보위, 나머지 의원들은 모두 법사위 소속으로 특히 박영선 의원은 법사위원장을 맡고 있다. 정 부대표는 “(특위를 하겠다는) 본인의 의지가 강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과 마찬가지로 법률 등에 초점을 맞춘 구성이자 특히 그동안 국정원 사건에 온힘을 쏟아온 의원들로 특위위원을 구성, 민주당이 국정조사와 관련, 사활을 걸 것임을 우회적으로 알렸다.
특위위원 선임이 완료됐지만, 이번 사건을 두고 고발된 사람들이 위원에 섞여있어 향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 원내대변인은 이에 대해 “서로 양해가 되면 넘어갈 것이고 문제가 되면 다같이 빼는 등의 합의를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남북관계발전 특위와 동북아역사왜곡대책 특위위원들도 발표했다.
남북관계발전 특위의 위원장은 민주당이 맡아 박지원 의원을 선임했고, 위원으로는 설훈, 안민석, 백재현, 심재권, 김경협, 윤후덕, 홍익표 의원이 지명됐다. 간사는 백 의원이 맡았다. 동북아역사왜곡대책 특위는 강창일, 유기홍, 유성엽, 박홍근, 이상직, 이원욱, 임수경, 김윤덕 의원이 선임됐으며, 간사는 유성엽 의원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