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연구원, 연구비로 명품백을,,,
색소 탄 가짜 시약을 실제 시약으로 속이는 등 억대 대금 챙겨..
시약 납품업체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받고 편의를 봐준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 연구원들이 검찰에 적발됐다.
2일 대전지검 특수부는 지난 2010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시약 납품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아온 A 씨(31) 등 질병관리본부 연구원 3명을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수수 등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상대적으로 수뢰 액수가 적은 B 씨(49)는 뇌물 수수 혐의로 불구속 기소 됐으며, 연구원들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뇌물공여)를 받고 있는 C 씨(39) 등 납품업체 관계자 4명도 함께 기소 됐다.
검찰에 따르면 A 씨 등 연구원들은 납품업체 관계자 C씨와 공모해 색소를 물에 타 색깔만 같게 만든 가짜 시약을 실제 시약인 것처럼 납품 받고 대금 4억9000만원을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한 연구원은 납품업체 영업사원과 짜고 납품되지도 않은 시약 대금으로 4억5000만원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1개당 42만원에 직접 납품받을 수 있는 노로바이러스 진단 키트를 자신이 설립한 유령 유통업체를 거쳐 1개당 110만원에 납품되도록 해 차액 1억9000만원을 챙기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질병관리본부가 경쟁 입찰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시약을 구매하도록 하고 있음에도 연구원들 임의로 특정업체를 선정해 시약을 납품받고 그 대가를 챙겨왔다”며 “연구원 A 씨 등은 납품업체 관계자 C 씨에게서 받은 신용카드로 명품백 등의 사치품을 사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질병관리본부 연구원들이 오랜 시간 거액의 뇌물을 챙길 수 있었던 배경으로 질병관리본부의 부실한 검수 절차를 지적했다. 한 관계자는 “검수 절차가 마련돼 있어도 내용물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가짜 시약 납품이 가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