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가격 16주만에 하락세…전세는 상승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16주 만에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번 매매가격의 하락은 취득세 감면이 종료된 이후 장마철 비수기가 본격화 되면서 거래시장이 소강상태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11일 “8일 기준으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2% 하락했으며, 전세가격은 0.1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전주에 대비해 매매가격은 16주 만에 하락 전환된 반면, 전세가격은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 대비 매매가격은 0.28%, 전세가격은 3.13% 상승했다.
서울, 인천, 경기지역이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난 가운데, 수도권(-0.10%)은 낙폭이 다소 확대되며 6주 연속 하락했고, 지방(0.06%)은 18주 연속 상승했지만 오름폭은 둔화됐다.
시도별로는 인천(-0.13%), 서울(-0.11%), 제주(-0.10%), 경기(-0.09%), 전남(-0.07%) 등의 순으로 가격 하락을 주도한 반면, 대구(0.37%), 경북(0.36%), 충북(0.04%) 등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7개 시·군·구 중 전주대비 하락(99→103개) 지역과 보합(21→29개) 지역은 늘어났고, 상승(57→45개) 지역은 줄어들었다.
특히 서울(-0.11%)은 7주 연속 하락세를 유지한 가운데, 강북(-0.09%)은 내림 폭이 다소 확대되고 강남(-0.13%)은 하락폭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대형 아파트가 가격 하락을 주도하면서 모든 규모에서 일제히 하락했다.
전세가격은 자산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로 세입자들의 전세선호 현상이 확산되는 가운데 전세자금대출 금리 완화에 따른 전세거래가 증가하면서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
수도권(0.13%)은 오름폭이 확대되며 46주 연속 상승했으며, 지방(0.08%)은 47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오름폭은 다소 둔화됐다.
공표지역 177개 시·군·구 중 전주대비 상승(95→95개) 지역은 동일했고, 보합(56→39개) 지역은 줄어든 반면, 하락(26→43개) 지역은 늘어났다.
서울(0.20%)은 매매시장 위축에 따른 전세수요 증가로 12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가운데 강북(0.14%)과 강남(0.25%) 지역이 일제히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