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88% "학생들 한국사 인식 수준 심각" 응답
전국 초·중·고·대학 교원의 51%가 한국사의 ‘수능 과목 필수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7월 8일부터 12일까지 전국 초·중·고·대학 소속 교원 1630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교육 강화 교원 인식조사'를 한 시행한 결과, 응답자의 51.1%가 한국사 인식 강화 방안으로 '수능 필수화'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 학년 한국사 수업 실시 및 내신 반영 강화’(22.3%), ‘교과 내용·분량 적정화 및 참여형·탐구형 등으로 수업방법 개선’(16.6%)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정치권 일부에서 검토 중인 ‘한국사검정능력시험 도입·수능 자격화’에는 5.8%만 찬성의사를 밝혀 대부분의 교원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한국사 인식 수준에 대해서는 교원의 대부분인 88%가 ‘심각한 수준이다’라고 응답했다.
한국사 인식 저하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한국사가 수능 선택과목이고 대부분의 대학이 필수과목으로 지정하지 않아서’(62.9%)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시수 부족과 이로 인한 겉핥기식 수업’(15.8%), ‘내용이 광범위해 어렵고 암기위주의 과목으로 인식돼서’(14.6%)가 각각 2, 3위로 꼽혔다.
고교 한국사 이수 단위를 ‘부족하므로 더 늘려야 한다’는 응답은 79.8%에 달했다. 이수 시기는 ‘3개 학년에 걸쳐 이수’ 응답이 45.2%로 가장 높았고, ‘2개 학년에 걸쳐 이수’ 응답이 30.8%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교육부가 고교 한국사 이수 단위를 현행 5단위에서 6단위로 늘리고, 최소 2개 학기 동안 배우게 한 방안에 대해서는 60.8%가 ‘효과 있다’고 응답했으며 37.1%는 ‘현행과 별반 다를 바 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문과생 중 수능에서 국사를 선택하는 비율이 2005년 46.9%에서 2013학년도 수능에서는 12.8%를 기록해 3분의 1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회에서는 한국사 교육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고등교육법 등의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며 법이 개정될 경우 이르면 2017학년도부터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