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3자 회담'은 되고 '5자 회담'은 안되고?


입력 2013.08.08 10:28 수정 2013.08.08 13:53        조소영 기자

<기자수첩>원내복귀 명분도 잃고 국조 실리도 날리고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2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병헌 원내대표,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와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민주당이 7일 청와대가 전날 제안한 여야 대표 및 원내대표를 포함한 ‘5자 회담’ 제안을 거절했다. 노웅래 당 대표 비서실장은 대신 “김한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영수회담)을 다시 한 번 제안드린다”고 말했다. ‘5자 회담’을 거부하고 ‘1대 1 회담’을 재(再)제안한 것이다. 그는 이어 박 대통령에게 “역지사지로 생각해보라”고 쏘아붙였다.

지난 3~5일까지 김 대표가 영수회담을 강조해왔기 때문에 노 비서실장의 이 같은 강경한 태도는 “영수회담이 아니라면 어떤 회담이든 수용할 수 없다”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노 비서실장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 여야 대표만을 포함한 ‘3자 회담’은 가능하냐는 질문에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결론적으로 ‘3자 회담’까지는 수용 가능하다는 얘기다.

특히 노 비서실장은 ‘3자 회담’과 ‘5자 회담’ 간 폭을 넓게 뒀다. 그는 ‘5자 회담’에 대해 “100~200명을 만나는데도 (회담을) 하자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민이 보기에 (5자 회담은) 야당 대표를 인정하는 게 아니다. (김 대표가) N분의 1이 된다”고 직격했다. 즉, ‘5자 회담’부터는 대화 시간이 대폭 축소되고, 야당 대표의 ‘격’이 손상된다는 것이다.

물론 ‘5자 회담’으로 인원이 늘면서 김 대표가 박 대통령과 국가정보원(국정원) 개혁 문제를 두고 심도 깊은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 그저 ‘들러리’가 되면서 대화가 끝날 수 있다는 우려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제기가 있을 법하다. 다만 ‘5자 회담’ 거부에 있어서도 의구심이 생길 수 있다. ‘3자 회담’에서 단 2명만이 늘어난 꼴인데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유독 예민하게 ‘청와대의 역제안’에 반응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앞서 김 대표는 3~5일까지 ‘영수회담’만을 줄곧 외치다가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5일 여야 대표만을 포함한 ‘3자 회담’을 제안하자 “청와대의 공식제안이 있다면, 정국상황이 엄중한 만큼 형식과 의전에 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는 청와대만 수용한다면 ‘3자 회담’을 기꺼이 받겠다는 뜻으로 사실상 청와대를 향해 “어떤 형식이든 상관없이 일단 만나서 대화부터 하자”로 해석될 소지가 다분했다. 김 대표는 지난 3일 ‘영수회담’을 처음으로 제안할 때도 “사전 조율도 의전도 필요 없다.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야말로 청와대와 대화만 성사된다면 어떤 상황도 상관없다는 것을 강조해온 것이다.

하지만 막상 청와대가 대화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5자 회담’ 형식을 꺼내자 민주당은 강한 불쾌감을 표출했다. 민주당의 입장이 ‘무(無)형식’에서 ‘유(有)형식’으로 선회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3자 회담’까지 마지노선을 두면서 ‘김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이나 ‘황 대표’가 제안한 3자 회담까지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박 대통령’이 제안한 5자 회담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오해를 사기 충분한 상황이 됐다.

무엇보다 민주당은 청와대 회담 거절로 ‘원내 복귀 명분’을 잃어버린 셈이 됐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또다시 ‘청와대의 입’을 바라보거나 다른 명분을 찾아야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민주당을 두고 ‘장외투쟁 명분’을 유지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짙어지게 됐다. 민주당이 향후 더 깊은 ‘늪’으로 빠져들기 전에 청와대의 제안을 두고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할 때가 왔다는 이유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