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현대차 노조 파업 배경은 집단이기주의·계파갈등"


입력 2013.08.21 13:10 수정 2013.08.21 13:14        박영국 기자

경총 “기업이 노조 파업에 끌려 다닐 수밖에 없는 제도상 문제점 개선해야”

경영계가 현대자동차 노조 파업 배경으로 ‘집단이기주의’와 ‘계파갈등’을 지목하며 노조에 파업 중단을 촉구하는 한편, 정부에 연례적 파업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1일 입장자료를 통해 “현대차 노조가 또다시 해당업체와 국가경제를 볼모로 해 자신들의 요구안 관철에 나섰다”며, “국내 완성차 생산량이 감소하고 세계 경제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현대차 노조 파업으로 국가경제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경총은 또, 토요타 노조가 최근 엔저 효과에 따른 실적 향상에도 불구, 사업환경 불투명을 이유로 회사에 기본급 동결을 제시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반면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6.9% 인상, 회사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800% 지급 등 과도한 요구로 일관하고 있고, 여기에 자녀 대학 미취학시 기술취득지원금 1000만원 지급 등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요구도 지속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경총은 “노조의 이같은 행위 이면에는 집단이기주의와 함께 노조내 계파갈등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올해 9월 노조 임원선거를 앞두고 각 계파들이 자기 계파 인사의 당선을 위해 무리한 요구와 파업을 부추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대차 노조에 대해 “국가경제를 볼모로 자신들의 집단이기주의를 충족시키려는 명분 없는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노사 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외국 자동차 노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과도한 요구를 자제하고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부터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에 대해서도 노조의 파업에 기업이 끌려 다닐 수밖에 없는 현 제도를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경총은 “형식적인 요건만 갖추면 파업이 가능하도록 해선 안 된다”며, “파견제도 확대 등을 통해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대체근로를 허용하는 등의 제도 개선을 통해 노조가 연례행사처럼 파업을 하고 기업이 그 요구를 수용할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