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역사 교과서에 기록될 '교과서 전쟁'의 승자는


입력 2013.09.14 12:00 수정 2013.09.14 12:05        이충재 기자

좌파 집요 공격에 우파 결집…교학사 다음주 발행여부 결정

‘교과서 전쟁’, ‘역사 전쟁’이라는 말까지 등장할 정도다. 교학사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교육부가 검정을 통과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전면 수정-보완한다고 밝혔지만, 이를 둘러싼 공방은 오히려 격상되고 있다.

역사 교과서 논란이 이념전쟁으로 확전되면서 좌우와 여야가 서로 총구를 겨누고 있다. 당초 진보 단체들이 교학사 교과서가 우편향이고 사실 왜곡-오류 문제가 있다며 몰아붙였지만, 집필진과 보수측에서도 “이념적 잣대로 교과서에 없는 내용을 침소봉대하는 것은 중단돼야 한다”며 맞서고 있는 상황. 양쪽 모두 ‘밀리면 안된다’는 각오로 무장했다.

교학사 집필진 "오류지적 수정-보완, 역사관엔 손 못 대"

우선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들은 사실왜곡 및 오류 지적을 받은 부분을 수정-보완해서 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표저자인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다른 교과서들도 사실적인 오류 부분이 대단히 많다. 단지 그것이 노출되지 않았을 뿐”이라며 “일부 (수정-보완) 부분은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권 교수는 ‘우편향 지적’에는 “흔들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권 교수는 “언론 등에서 지적한 오류 부분 가운데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은 10~20%정도”라며 “무리한 오해와 편견, 왜곡에서 비롯된 지적들이 거의 대부분”이라고 했다

공동저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도 “교학사 교과서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아주 충실했다”며 “객관적 수치의 오류 부분에 대해서는 바꾸고, 여러 가지 논란이 제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정할 의지가 없다”고 말했다.

5일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역사정의실천연대 및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가 주최한 친일, 독재 미화 교학사 교과서 검정 취소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교육부에게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 검정 승인 취소를 주장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교학사, 협박전화 시달리며 '매출감소'우려…"다음주 발행여부 발표"

교과서전쟁 사이에서 유탄을 맞은 건 출판사인 교학사다.

교학사는 현재 빗발치는 협박-항의 전화로 인해 업무에 차질을 빚고 있다. 교학사측 관계자는 “역사 교과서 문제로 하루에도 수백 통의 항의전화가 걸려와 업무를 볼 수 없다”며 “물리적으로 위협하는 내용의 ‘협박전화’도 있었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교학사측은 한국사 교과서 발행 포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학사측 관계자는 “다음주쯤 발행여부 등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사 교과서 논란으로 다른 교과서 판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다만, 검정 승인 취소는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의해야 한다. 교학사가 발행을 포기하더라도 집필진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와 출판사 간 저작권 문제 등 법적문제로도 확대될 수 있다.

이에 집필진은 “교학사측의 발행포기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들은 “야권과 진보진영의 ‘좌편향 공세’에 출판사가 흔들리고 있다”며 ‘협박전화’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촉구했다.

민주당 '정국 주도권 잡아보자' 새누리 '또 다른 정쟁 그만하자'

정치권에서 적극적인 공세를 펴는 쪽은 민주당이다. 상대적으로 전장에서 우위를 점했다고 판단, 정국 주도권을 쥘 교두보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당 산하에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왜곡미화 대책위원회’까지 꾸렸다.

특히 민주당은 “교육부가 수정-보완을 대책으로 발표한 것은 무책임한 처사이고, 즉각 검정합격을 취소하고 관련 기관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정부의 잘못을 바로잡으려면 국민들의 힘이 필요하다”고 대국민 홍보운동으로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론전에 자신있다’는 입장이다.

동시에 민주당은 원내대책회의와 고위정책회의 등 공식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도마에 올려 이슈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여당은 색깔론을 들이대며 교학사 교과서를 감싸는 행위를 중단하라”며 최근 야권을 겨눈 ‘종북논란’에 대한 맞대응 차원의 공세도 병행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표면적으론 이번 논란에서 한 발 물러선 모양새다. 여야 정쟁이 확대될수록 국정운영에 도움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교과서만큼은 좌우 이념과 정치적 진영논리를 벗어나 객관적 자세로 균형감각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며 “좌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정치권도 이에 가세한 부분은 성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어 “이번 기회에 철저한 검증과 수정-보완을 통해 다시는 이런 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올바른 역사 교육을 위해 (정치권이) 이런 논란 중심에 서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무성 의원은 최근 ‘새누리당 근현대 역사교실’이란 당내 연구모임을 설립하고 교학사 교과서 저자인 이명희 교수를 강사로 초청했다. 이 교수는 강연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고 했다”는 발언으로 또 다른 논란을 낳고 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