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정치판 도마오른 역사교과서, 맹사성 일침을...


입력 2013.10.16 11:28 수정 2013.10.16 11:46        이상휘 선임기자

<칼럼>역사교과서 편찬, 자격검증 제도화 시킬 때

역사교과서 문제가 국감에 올랐다. 좌편향, 우편향을 따진다. 야당에서는 우편향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여당에서는 그 동안의 왜곡을 바로 잡겠다는 의지다.

복잡하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과서다. 뭐든 정확해야 할 일이다. 국감에 오른 것을 보면, 문제가 있는 것이 확실한 모양이다. 정확하지 않는 사실이 들어간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이렇다. 우리나라 8종의 교과서 중에서 중립적 시각을 가진 교과서는 없다. 소위, 우편향 좌편향 교과서만 있다. 국감에서 주장하는 것은 우편향 교과서 한권, 나머지 7종은 좌편향 교과서라고 한다.

여당의 주장은 7종의 좌편향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남한의 합법정부 기술오류, 북한인권문제의 비언급 등등이다. 이 때문에 국감을 통해 수정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여든 야든, 교과서문제가 중요하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 좀 이상한 생각이 든다. 역사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렇다. 과연 이 문제가 국감에서 다뤄질 문제인가라는 점 때문이다.

유영익 국사편찬위원장이 지난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교육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자신을 둘러싼 여야원들의 의사진행발언을 듣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역사란 뭘까?

E.H. Carr,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책에서 보면,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다”라고 되어 있다. 현재 모습은 과거의 역사를 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역사는 사실이다. 개인의 역사와 가족의 역사는 일기다. 받은 표창장을 보관하고 족보를 챙기는 것이 역사다. 내가 무슨 일을 했고,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기록하는 것이 역사의 출발이다. 진솔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국가의 역사도 마찬가지다. 유물과 유적, 그리고 기록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역사적인 기록이나 증거들이 부족하면 혼란이 생긴다. 다른 관점에서 주관적으로 역사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통령기록물 삭제 파문이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역사는 정확해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것이다”는 말이 있다. 일견 이해가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너무나 무서운 말이다.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되는 역사는 왜곡이기 때문이다. 오만한 발상이며, 역사를 거스르는 경솔한 관점으로 봐야 한다.

수 많은 세월이 흘러도 거짓된 역사는 밝혀질 수 밖에 없다. 역사는 진실만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기록과 흔적에서 찾아낼 수 있다는 의미다.

대통령 기록물에 이어 역사교과서가 정치판 도마위에 올랐다. 모두가 역사에 대한 겸허함이 필요한 대목이다. 역사교과서가 이쪽과 저쪽의 시각차로 내용이 달라진다면 과연 이것이 진정한 역사일까 싶다. 하물며 배우는 학생들은 무엇이 진실인지에 대해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적어도 역사교과서 만큼은 정치적 논쟁에서 자유로웠으면 좋겠다. 이제 역사교과서를 편찬하는 일부터 달라져야 한다. 철저한 검증을 통해 사실에 입각한 작업이 될 수있게끔 제도적 장치를 보완해야 한다. 편찬위원회의 구성도 종교계, 국가 원로 등 다양한 진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상과 이념에서 탈피한 학자들만 참여하도록 자격검증을 제도화시킬 필요가 있다.

조선조 세종 때 일이다. 우의정 맹사성은 태종실록의 편찬을 맡았다. 세종이 완성된 실록을 보고 싶었다. 맹사성은 이렇게 말했다.

“사서란 옛 임금의 행적과 치적을 가감없이 기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내용에는 임금님의 과오가 없을 수 없습니다....중략....임금이 실록을 보고 마음에 들지 않아 고치게 된다면 사관들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임금께서는 실록을 볼 수 없습니다.”

이 말을 듣고는 실록을 보지 않았다. 역사에 관한 세종과 맹사성의 일화다.

대통령기록물과 역사교과서의 편향논란, 세종과 맹사성의 일화는 우리에게 귀감이 되고도 남는 것이다. 역사는 이편도 저편도 아닌 역사 그 자체라는 점을 인식했으면 좋겠다.

이상휘 기자 (shon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상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