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묘수'라던 '황찬현-황교안 동반상정' 결국 '허수'


입력 2013.11.22 17:39 수정 2013.11.22 17:53        조소영 기자/조성완 기자/이슬기 기자

야당 "황교안 해임안부터" vs 여당 "일 잘하는 사람 생채기 내자고"

여야가 황찬현 감사원장 임명 동의안과 황교안 법무부장관 해임안을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하는 방안을 협상 하는 것으로 알려진 2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에 대한 여야 간 ‘이견의 골’이 결국 좁혀지지 못했다.

전자는 여당, 후자는 야당이 주장하는 것으로 당초 두 안건은 22일 국회 본회의에 동반상정돼 동시표결하는 방안이 논의됐으나 각 당의 ‘셈법’이 복잡해지면서 진통을 겪었다. 각 당은 이날 오후 1시 30분 국회에서 나란히 의원총회를 열었으나 협상을 위한 의견들이 나오기보단 ‘내 목소리’를 키우는데서 회의가 그쳤다.

정호준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의총결과와 관련, “황 장관 안을 먼저 올리자는 게 당론”이라며 “만약 (새누리당 쪽에서 황 후보자 안을) 직권상정하게 되면 그 순간 민주당은 (본회의를) 홀딩(정지)하고 의총하자는 말이 원내대표단 사전회의 때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얼핏 새누리당을 보니 그냥 각자 입장만 더 확고해진 것 같더라”고 전했다.

의총이 끝난 후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와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두 안건에 대한 협상절차를 거쳤으나 이견을 좁히는데 실패했다. 새누리당은 황 후보자 안을 먼저 처리하자고 했고, 민주당은 황 장관 안을 선(先)처리할 것을 고수했다.

이후 여야 원내지도부는 강창희 국회의장과 면담을 갖고 두 안건에 대한 처리문제를 논의했다. 새누리당은 강 의장에게 황 후보자 안의 직권상정을 요청했지만, 강 의장은 협의를 통해 합의할 것을 강조했다. 하지만 여야는 이날 중 접점을 찾기는 어렵다고 보고 다음 주에 다시 두 안건에 대한 협상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황 장관 안이 오는 23일 소멸 예정이지만, 다음 본회의 일정 등을 고려해 12월 중 이를 재제출하기로 했다.

새누리 "황교안, 소신껏 잘하고 있다"

앞서 여야는 두 안건을 두고 치열하게 맞붙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민주당이 황 장관 안을 먼저 처리하자고 주장하는데 대해 “누가 봐도 정치공세이며, 멀쩡히 일 잘하는 장관을 생채기 내려는 시도임이 분명하다”면서 “황 장관은 소신껏 국무위원으로 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2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전병헌 원내대표,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와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그는 이어 “솔직히 인사안을 ‘누구 때문에 누구는 안 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감사원장 후보자와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내가 알기로 인생을 살면서 평소 말 한마디도 안 섞어본 사이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멀쩡한 감사원장 후보자를 복지부 장관 후보자를 시비로 안 해준다면서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되는 연계안을 폈다”면서 “그러더니 (민주당은) 어제오늘 사이에는 황 장관 해임안을 제출해놓고 이것과 연계시켜서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안을 표결에 임하느니 마느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원내대표는 또 “야당이 하도 집요하게 황 장관 해임안 표결을 해달라고 요청해서 감사원장 임명안 표결을 먼저 해주면 황 장관 해임안 표결을 해주겠다고 했다”며 “그런데도 야당은 막무가내로 황 장관에 대한 표결을 먼저 하지 않으면 일정을 합의해줄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의도가 뻔히 보이는 의사일정 순서”라면서 “황 장관 해임안에 자기들 표가 모자라서 부결될 게 뻔하니 그걸 빌미로 감사원장 동의안에 협조하지 않으려는 의도라서 받을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민주 "문형표도 사퇴시켜야"

반면 민주당은 국가정보원(국정원)을 비롯한 주요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문제를 언급하며 특별검사제(특검) 도입을 거듭 촉구한 뒤 황 장관 안의 처리와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 등을 강조했다.

김한길 대표는 의총서 최근 국정원 직원들의 추가 댓글이 밝혀져 검찰이 공소장 변경신청을 한 것과 관련, “이 과정에서 법무부와 검찰지휘부의 수사방해가 있었다고 한다”며 “오죽하면 특별수사팀 검사들이 집단사표를 운운하며 배수진을 쳤겠나. 특별수사팀에 젊고 용기 있는 검사들이 직을 걸고 압력을 이겨내지 못했다면 국민 여론을 조작한 트위터글 120여만 개가 아무도 모르게 파묻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그래서 (해당 사건의 해결을 위해선) 특검만이 정답이고, 황 장관을 해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제는 박 대통령도 ‘내가 댓글 때문에 대통령에 당선됐느냐’고 묻기에도 망설여질 것”이라고도 쏘아붙였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문 후보자의 임명은 안 된다. 이미 참여연대는 (문 후보자의) 법인카드 사적유용 문제로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했고, 민주당도 곧 고발할 예정”이라며 “문 후보자 검증은 청문회로 끝난 게 아니라 지금도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문 후보자는 스스로 사퇴하는 게 박 대통령을 도와주는 길이고, 박 대통령은 문 후보자를 사퇴시키는 게 국민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원내대표는 또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어리석은 짓을 하지말길 다시 한 번 박 대통령과 청와대에 경고한다”며 “그리고 새누리당도 더 이상 청와대의 눈치를 볼 게 아니라 제1당답게, 집권당답게 특검을 수용하고 황 장관 해임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