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싱가포르와 '제3국 인프라 산업 공동 진출'
정상회담서 '싱가포르 금융 한국 IT 연계 아세안 진출' 합의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양국의 강점을 결합해 제3국에 공동 진출키로 합의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싱가포르의 강점인 금융, 물류 산업과 우리의 강점인 제조업, IT(정보기술), 건설 산업을 결합해 ‘물리적 연계’를 추진하고 있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지역의 인프라 분야에 공동 진출하자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아세안은 현재 도로, 철도 등 수송인프라와 ICT(정보통신기술), 에너지 인프라를 포괄한 인프라 간 역내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양국 정상은 싱가포르가 추진하고 있는 중국·동남아 지역의 대규모 신도시 개발 사업에 우리 건설업체의 참여를 지원하고, 우리 기업이 동남아·중앙아 지역에 투자 중인 대규모 인프라·플랜트 프로젝트에 싱가포르가 금융을 지원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 간 실무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양국 정상은 지난 1997년 체결된 과학기술협력협정에 따른 과학기술공동위를 내년 초에 한국에서 개최하고, 양국 간 창조경제 전반에 관한 논의하고, 협력을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우리 보건산업진흥원은 이날 오전 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청과 바이오메디컬 분야 MOU(양해각서)를 기초로 나노 로봇분야까지 협력범위를 확대키로 합의했다.
이날 정상회담에서 박 대통령은 “우리 두 나라는 천연자원은 부족하지만 뛰어난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해서 경제성장 이룬 그런 공통점이 있다”면서 “이제는 또 창조와 혁신을 바탕으로 해서 새로운 도약을 해야 되는 공통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런 시점에서 우리 양국이 미래 지향적인 협력을 더욱 강화해 새로운 도약의 길을 함께 걸어간다면 두 나라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리셴룽 총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 양국 모두 비교적 저개발국에서 산업화를 통해 신흥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면서 “우리는 발전 과정에서 인적 자원에 의존했고, 역내 안보와 안정적인 환경에 의존함으로써 이 같이 발전할 수 있었다. 또 역내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하면서 발전해 왔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는 새로운 단계,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세계경제는 보다 복잡해지고 있고, 역내 안보환경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있다”며 “사회 기대수준도 더 높아지고 있고 다양한 사회적 문제, 양국 간 비록 차이는 있지만 한편으로는 유사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리셴룽 총리는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경험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대통령이 창조경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한편, 박 대통령과 리솅룬 총리의 만남은 지난 10월 정상회담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박 대통령은 지난 10월 9일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브루나이를 방문해 리센룽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가졌다. 당시 양국 정상은 경제·항공 분야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향후 한·싱가포르 간 FTA(자유무역협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호 공조키로 협의했다.
박 대통령은 또 국회의원 신분이던 2008년 7월 싱가포르를 방문해 리셴룽 총리의 부친인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 부부와 리셴룽 총리를 접견한 바 있다.
앞서 박 대통령은 1979년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한국을 찾은 리콴유 전 싱카포르 총리와 식사를 함께 했으며, 당시의 인연을 계기로 2006년과 2008년 리콴유 전 총리 부부를 다시 만났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