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심상정 "경기도지사? 난 양보받은 것도 없어서..."


입력 2014.01.22 15:14 수정 2014.01.22 15:24        김지영 기자

기자간담회서 "민주당, 야권연대 말할 자격 없어"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가 22일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야권연대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연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자료사진)ⓒ데일리안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가 22일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 야권연대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연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심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선 민주당은 야권연대를 얘기할 자격이 없다. 그동안 혁신해야 할 임무를 수혈이나 통합, 연대로 회피해왔다는 게 국민의 냉엄한 평가라고 생각한다”면서 “연대가 있다, 없다를 말하기 전에 연대의 가치와 의미가 재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는 또 “일단 국민의 입장에서는 야권이 다시 권력을 찾을 수 있느냐가 관심사라고 본다”면서 “그럴만한 혁신의 내용과 능력을 갖추는 일에 전념한다는 전제가 깔려야 한다. 힘을 합치든가 연대하는 문제는 그 다음이다. 그 메시지가 국민의 가장 중대한 주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몇 년 전만 해도 한나라당의 독주를 막기 위해 반대를 위한 연대를 여러 차례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며 “강한 청와대에 맞서 연대의 필요성은 있지만, 그 전에 정치를 바꿔야 한다. 그런 큰 틀에서 (아직은) 어디와 어떤 연대를 하느냐에 대한 포석을 두는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특히 심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야당으로서 앞선 선거에서 보여왔던 모습들에 대해 강한 실망감을 내비쳤다.

그는 “선거의 속성에는 늘 심판이 있다. 보통 야당을 말할 때 야당은 반대당과 대안정부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면서 “민주당의 지지율 10%는 반대당의 역할은 잘하지만, 대안정부의 역할을 못한다는 것이다. 대안 경쟁이 이번 선거에서 국민이 확인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방선거이기 때문에, 작은 권력을 나누는 선거이기 때문에 정치를 바꿀 수 있다는 신뢰와 믿음을 주는 게 야당들이 해야 할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지사? 난 양보받은 것도 없어 몸이 가벼운데..."

아울러 심 원내대표는 자신을 둘러싼 경기도지사 출마설과 관련해 가능성을 열어놨다. 심 원내대표는 “오늘이 영하 11도다. 꽃봉우리가 터지려면 춘삼월은 돼야 한다”면서 “난 양보받은 것도, 빚진 것도 없어서 몸이 가벼운데, 이번에 출마한다면 끝을 봐야 할 것이다. 판단을 말할 때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천호선 당대표의 서울시장 출마에 대해서도 그는 “정의당이 당명을 가지고 국민을 만난 것은 1년도 안 된다. 그런 점에서 우리 당이 그동안 진보정치의 성찰을 통해 어디로 가려는지 국민에 분명하게 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며 “당연히 국민의 시선이 집중되는 공간에 정의당의 깃발이 서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심 원내대표는 “올해는 주류진보의 길을 크게 열어가는 큰 걸음을 내딛는 도약의 한해야 돼야 한다. 내게, 정의당에게 중요한 해라고 생각한다”면서 “민주당 왼편의 정의당이 아니고, 민주당을 대체하는 정의당이 될 때 최고의 정치개혁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방선거도 작은 권력을 나누는 선거이기 때문에 승리를 위한 디테일한 전략을 짜야겠지만, 진보정치가 주류로 가는 길을 개척하는 관점에서 본다”면서 “시행착오도 있었고, 길을 잘못 든 어려움도 있었지만, 모든 것을 성찰하면서 대도에 들기 위한 단단한 각오로 2014년을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심 원내대표는 원내 최대 현안인 기초선거(기초단체장·기초의원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북한인권법과 관련해서도 민주당과 다른 목소리를 냈다.

그는 “현실만 말하면 정치개혁특위는 만장일치제로 해왔다. 어떤 정당의 입장을 떠나서 지금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하면 사실 어려운 것”이라며 “정당공천제 폐지는 실현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심 원내대표는 또 “나는 처음부터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라는 공약은 선거 때 표심을 의식해서 급조해서 내놓은 오답이다, 여러분이 잘못했지 않느냐는 것에 대한 면피용이다, 이런 입장”이라면서 “정당공천 폐지 여부가 마치 지방선거 개혁의 요체인 것처럼 여야가 담합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 점에서 (이번 특위는) 진짜 개혁의 구체적인 과제들, 특히 양당이 내려놓아야 할 기득권, 개혁과제들이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문제의식을 가진다”면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기득권 내려놓기 정책으로 중대선거구제 채택과 기초선거구 복수공천제 폐지를 제시했다.

특히 심 원내대표는 “큰 틀에서 기득권을 양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지방선거의 작은 권력을 갖고 그런 의지를 밝히지 못하면 다른 건 더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면서 “앞뒤 대안도 없이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둘러싼 정략적인 이해관계에 집착하는 건 책임 있는 태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김지영 기자 (j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지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