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타운 개설 벤처사업 육성, 이번엔 중소기업 참여 규제개혁 사이트
지난해 창조경제타운을 개설해 벤처사업 육성에 주력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규제개혁 관련 사이트 개설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5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국무조정실·국민권익위원회·법제처의 2014년도 국정평가 종합분야 업무보고에서 “현장에서 쌍방향으로 소통하면서 끊임없이 보완해 피부에 와 닿게, 실제 규제개혁이 현장에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국무조정실에 규제와 관련한 사이트를 하나 만들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중소기업이든 소상공인이든 누구든지 ‘이런 규제가 아직도 안 고쳐지고 있다’, ‘법이 통과됐는데 오히려 이게 불편하게 하고 있다’, ‘이러이러한 게 간과되고 있는 게 있다’고 하면 끊임없이 현장에서 사이트에 올리고, 그것을 정부의 각 사이트와 링크해 활용할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ICT(정보통신기술) 사랑은 이번뿐 아니다. 지난해에도 박 대통령은 10대그룹 대표단과 중견기업 대표단 접견, 경제자문회의에서 국민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전문 멘토와 연결하고, 해당 아이디어를 기업과 공공부문의 투자를 통해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이끌기 위한 사이트 개설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각 정부부처는 민간기관과 합동으로 사이트 구축을 시작해 지난해 9월말 아이디어 교류·협력 사이트인 창조경제타운을 개설했다. 당시 창조경제타운은 개설 20여일 만에 7만여명이 접속하고, 1800여건의 아이디어가 제안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가운데 33건은 특허로 등록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정식 사이트가 개설된 뒤에도 수차례 공식석상에서 창조경제타운을 언급하며 홍보에 열을 올렸다.
지난 9월 30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는 “모든 수석들과 부처에서 창조경제타운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으며, 10월 22일 국무회의에서는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아이디어가 지적재산권화 되고 사업화돼 성공사례가 자꾸 나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보스 포럼 직후였던 지난달 27일에는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가 계획하고 있는 오프라인 창조경제타운에는 시스코 등 세계적인 ICT 기업들에서도 참여에 관심을 보였다”며 “앞으로 더욱 창조경제타운이 활기를 띌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