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의 기념일 챙기기 '키워드'가 보인다
참석 행사 정책기조 '문화융성+관광진흥→창조경제'
작년 직접 챙긴 13개 기념일중 5개 경제 과학 관련
“올해부터 매월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정했습니다. 문화가 있는 날에는 공연장이라든가, 영화관이라든가, 또 스포츠 경기장이라든가, 이런 곳을 무료로,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국민들이 찾을 수 있도록 해서 많은 분들이 그런 곳에 가서 즐거운 문화를 즐기는 그런 시간을 갖도록 했습니다.”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인 문화융성위원회는 지난해 10월 25일 제2차 문화융성회의에서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제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8대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제1회 문화가 있는 날이었던 지난달 29일 세종문화회관을 찾아 애니메이션 ‘넛잡(Nut Job)’을 관람했다.
영화 상영에 앞서 박 대통령은 “많은 분들이 아무쪼록 이런 날에 공연장이나, 이런 곳을 찾아서 문화를 더욱 즐기고 사랑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기원했다.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실은 앞으로 특별한 일정이 없다는 전제 하에 매달 문화가 있는 날마다 박 대통령의 행사 참석을 건의할 방침이다.
문화융성은 박 대통령이 제시한 4대 국정과제 가운데서도 가장 활동이 두드러졌던 분야다. 앞서 박 대통령은 해외순방 중에도 각종 문화행사에 참석해 K-pop과 한복 등 우리 문화를 알리는 데에 앞장섰다. 문화융성에 대한 박 대통령의 의지가 문화가 있는 날이라는 기념일을 통해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이 참석하는 기념일 행사를 보면 박 대통령이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정책의 키워드를 알 수 있다. 실제 문화가 있는 날 기념식 참석을 전후해 박 대통령은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UN교육과학문화기구) 사무총장을 접견하고(2월 4일), 관광진흥확대회의를 주재하는 등(2월 3일) 문화관광 행보에 주력했다.
지난해 박 대통령이 참석했던 기념일 행사도 대부분 새 정부의 국정기조, 혹은 중점 추진과제와 맞닿아 있다. 그간 행보로 살펴보면 박 대통령이 지난해 가장 주력했던 분야는 바로 창조경제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3월 30일 상공의 날 행사에 참석한 데 이어 발명의 날(5월 15일), 환경의 날(6월 5일), 여성 경제인의 날(7월 10일), 방송의 날(9월 2일), 무역의 날(12월 5일) 기념식에 잇달아 참석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직접 챙겼던 13개 기념일 가운데, 우려 5개가 경제 또는 과학 관련 기념일이다.
이 기간 동안 미래창조과학부는 새누리당과 당정협의를 통해 모두 283건의 창조경제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다음으로 박 대통령이 매진했던 분야는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이다.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의 내란음모 사태와 일본의 외교도발 등으로 국가안보가 위협받던 지난해 박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날(9월 30일), 국군의 날(10월 1일) 기념식에 참석해 확고한 안보태세 확립과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해양경찰의 날(9월 24일), 경찰의 날(10월 21일), 소방의 날(11월 12일) 기념식에 참석해 경찰과 소방관들을 격려하는 한편, 국민안전을 위해 더욱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은 어린이날(5월 5일)과 스승의 날(5월 15일) 어린이들과 모범교원들을 각각 청와대로 초청하고, 노인의 날(10월 2일)을 닷새 앞둔 9월 27일 어르신들과 청와대에서 점심식사를 함께하는 등 민생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일각에서는 3주 앞으로 다가온 납세자의 날(3월 3일) 기념식에 박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지하경제 양성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강조했던 만큼, 기념식 참석을 통해 조세정의 확립 의지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