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선 “통합 신당, 공천제 통합 정당화 수단 삼아”
5일 라디오서 “정당공천제 폐지는 정치개혁 아냐” 주장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제3지대 신당’ 창당에 착수하면서 정의당의 거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천호선 정의당 대표는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는 그 자체가 정치개혁이라고 할 수도 없고 정치개혁의 여러 과제 중 핵심과제도 아니다”고 밝혔다.
천 대표는 5일 K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치 신뢰가 떨어진 근본적인 이유는 찾지 않고 마치 정당공천이 모든 악의 온상인 것처럼 몰아붙이더니, 또 이를 고리 삼아 통합의 정당성을 내세우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당공천은 오히려 이런 것(여성 등 소수자의 정치 참여)을 보장해왔고 지방자치를 건강하게 하는 보루의 역할을 해 왔다”며 “(공천제에)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정의당은 아직은 정당공천이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공천과정에서 국회의원의 횡포는 정의당처럼 정당 내부의 민주적 운영과 개혁에 의해서 해결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천 대표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공천제 폐지’를 중심으로 세력을 합친 것에 대해 “(공천제 폐지 주장이) 기득권을 내려놓는 측면이 전혀 없다고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기득권의 양보라고 하더라도 작은 것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통합 신당 측이) 공천은 안하지만 새로 만들어질 통합 신당의 후보임을 드러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묘안을 고민 중이라고 한다”며 “그것은 국민을 속이고 ‘눈 가리고 아웅’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천 대표는 여권에 어부지리를 주지 않기 위해 야권 통합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두고 “항상 제1야당을 중심으로 한 무조건적인 단결론이 지금의 허약한 민주당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항상 그런(여권에 어부지리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요구들이 야권 연대의 배경이 되어 왔으며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 견제 이론으로써 당연한 요구다”면서도 “대한민국은 다당제(를 채택하고 있)고 여러 정당이 나와 서로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기득권에 안주하다 보니 민생으로부터 멀어진 것이 아니냐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그는 “(통합을 통해 야권)구도는 간단해졌는지 모르지만 (야권에) 혁신을 기대하기는 오히려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천 대표는 정의당 합류 제안설과 관련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책임 있는 접촉은 없다”며 “노회찬 전 대표에게 그런 제안이 왔었다고 말이 나왔지만 그것도 책임 있고 공식적인 것이라고는 볼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당내에서도 통합을 검토해보자는 의견이 현재까지 전혀 나오고 있지 않다”며 “현재로서는 우리 당의 다수가 (합류에) 동의할 만큼 (통합신당 측에서) 정치개혁과 진보정당의 정책 등을 수용할 의사와 의지를 발견할 수가 없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