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인천, 새누리당 후보들 야권 후보 앞서
CBS 박원순 39.0<정몽준40.4, 한국일보 박원순48.9>정몽준 47.2
6·4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에서 새누리당의 주요 예비후보들이 야권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후보들을 모두 앞서고 있는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CBS’가 여론조사전문업체 포커스컴퍼니에 의뢰해 지난 24~25일 만 19살 이상 수도권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양자대결에서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이 40.4%를 기록, 박 시장(39.0%)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박 시장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는 44.7%대 30.8%였고, 박 시장과 이혜훈 최고위원은 50.0%와 20.9%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새누리당의 서울시장 적합도는 정 의원이 34.5%, 김 전 총리 17.4%, 이 최고위원 3.9%였다. 나머지는 없음, 모름, 무응답이었다.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남경필 새누리당 의원이 야권의 유력 후보들과의 양자 대결에서 모두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김진표 민주당 의원과의 양자대결에서 35.9%를 기록, 22.3%를 기록한 김 의원에 비해 17.2%p 차로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야권의 유력 후보인 김상곤 전 교육감과의 양자대결에서는 43.6%대 22.0%, 원혜영 민주당 의원과의 양자대결에서는 44.7%대 17.0%로 남 의원이 모든 가상 양자대결에서 두 자릿수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에서는 유정복 새누리당 의원(32.3%)이 송영길 인천시장(30.7%)을 상대로 오차범위 안에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송 시장(35.3%)과 안상수 전 시장(30.7%)의 대결에서는 송 시장이 오차범위 안에서 안 전 시장을 따돌렸다.
같은 날 ‘한국일보’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뒤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박 시장과 정 의원이 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남 의원이 야권의 모든 후보를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시장과 정 의원의 양자대결에서는 48.9%대 47.2%로 1.7%p 차의 오차범위 내 초박빙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두 후보 모두 고른 지지를 받은 반면 연령별·계층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박 시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지지도가 높았지만, 정 의원은 반대였다. 또 박 시장은 화이트칼라와 학생으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반면 정 의원은 주부와 자영업자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박 시장은 김 전 총리와의 양자대결에서는 19.9%p차로 앞섰지만, 앞선 조사에 비하면 격차가 10.0%p 줄어들었다. 이 최고위원과의 양자대결에서는 32.2%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남 의원이 야권의 어떤 후보와 가상대결에서도 50% 이상의 압도적 지지율로 우위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 의원과 김 의원의 가상대결은 53.4%대 32.3%였다. 김 전 교육감과 붙을 경우에는 58.1%대 29.4%로 남 의원이 28.7%p의 큰 격차로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야권 후보 선호도에서는 김 의원이 31.2%로 가장 앞섰고, 당초 야권 후보 중 1위를 달렸던 김 전 교육감은 23.3%로 내려앉았다. 두 사람의 격차는 7.9%p로 벌어졌다. 원 의원은 20.1%의 지지를 얻었다.
김황식 측 “앞서 보도된 여론의 흐름과 상당한 거리 있어 의아스럽다” 문제제기
한편, 김 전 총리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늘 일부 언론이 보도한 서울시장 예비후보에 대한 여론조사는 앞서 보도된 여론의 흐름과 상당한 거리가 있어 의아스럽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김 전 총리 측은 “김 전 총리는 최근 정책공약 발표와 함께 시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모습으로 여론의 주목도를 나날이 높이고 있다”며 “아울러 이 흐름을 단번에 꺾을만한 상황변화 같은 것도 없다. 우리가 문제의 여론조사 결과를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라고 주장했다.
이어 “오늘자 동아일보는 ‘지역매체, 선거 여론조사 조작 속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1면에 보도했다”면서 “오늘 보도된 조사결과가 이에 해당한다고 단언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론조사와 관련한 혼탁양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상황에 주목하면서, 정확한 여론을 시민과 당원에게 전하는 노력을 배가하는 한편 향후 왜곡된 조사결과 보도행태가 나타날 경우 강력한 자구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