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권지분 매각' 고집 꺾은 금융당국…왜?
"시장 매수수요 많지 않은 상황…시장이 원하는 방향 최대한 반영한 것"
그동안 세 차례 우리금융 민영화에 실패한 금융당국이 경영권지분-소수지분 동시 입찰 진행이라는 '투트랙 카드'를 꺼내들었다.
지난 13년 동안 '경영권포함한 지분매각'을 고집하다가 국민들의 혈세를 회수하지 못했다는 비판으로 더 이상 경영권지분 매각에만 집착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23일 금융위원회 공적자금위원회가 발표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에 따르면 이번에 금융당국이 제시한 우리금융 민영화는 경영권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과 단순한 '이익추구' 목적의 투자자들이 분리돼 동시에 참여한다. 이익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자들도 얼마든지 자유롭게 입찰을 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시장의 매수수요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금융 민영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시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매각방안을 마련했다"면서 이번에는 우리금융을 반드시 민영화 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경영권 지분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은 30%에 대해서만 입찰이 가능하다. 다만 안정적인 경영권를 원한다면 소수지분에 대한 희망수량경쟁입찰에 동시에 참여해 추가적인 소수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소수지분에 대한 이익 투자 등이 목적인 투자자들은 0.5%~10% 사이에서 자유롭게 희망하는 수량에 대해 입찰을 할 수 있다. 단 최소입찰규모가 0.5%, 약 400억원 규모이기 때문에 자금력이 취약한 개인은 사실상 입찰이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우리금융 민영화 과정에서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을 매각하기 위해 애를 써왔지만 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냉랭했다. 우리은행의 규모가 너무 크고, 인수할만큼의 매력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영권지분에 대한 투자자들 보다는 소수지분에 관심을 갖는 투자자들이 몰려들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공자위 관계자는 "경영권이 포함된 지분과 소수지분은 이미 수요가 나뉘어져있기 때문에 '소수지분 쪽으로 투자자들이 몰릴 것이다'라는 말은 어폐가 있다"면서 "경영권 수요자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수지분 쪽으로 투자자들이 몰릴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매각 주관사를 통해 조사해본 결과 매각 방안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수 의사를 밝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것이 시장의 시각"이라면서 "정부에서 우리금융 매각 방안에 대해 발표했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회사들이 이제부터 인수에 대한 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금융에 대해 적극적으로 인수의사를 밝힌 곳은 극히 소수이기 때문에 또다시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의 매각은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박상용 공적자금관리 위원장은 "현재 경영권 지분을 인수할 의사가 있다는 주체는 여러개가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지방은행과 증권 분리에 따라 경영권지분 규모가 축소됐기 때문에 매각 작업이 수월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 위원장은 "해보지도 않고 미리 (매각이 실패한다는) 짐작은 안 된다"면서 "전반적으로 은행업 상황이 안 좋기 때문에 재무적 투자자 수요도 몰릴 것이라 기대는 안 하지만 다양한 수단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