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총 30여 개 사 400여 명 근로자 철수 및 안전대책 마련
국토교통부가 최근 리비아의 정세악화로 여행 금지국 지정에 따른 리비아 진출 건설기업과 우리 근로자를 인접국으로 철수·대피시키기 위한 안전대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리비아는 지난 5월 16일 동부 벵가지에서 퇴역장성이 이끄는 ‘리비아 국민군(LNA)’과 ‘이슬람 성향 테러단체(AAS)’ 및 ‘지역(부족)별 민병대’ 간 교전으로 대부분의 공항이 폐쇄됐다.
또 수도인 트리폴리와 동부 주요 도시인 벵가지 등에서 교전이 격화되는 등 치안상태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며, 사망자가 97명, 부상자 400여 명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현재까지 우리 건설기업과 근로자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으며, 기업별로 외교부와 협의해 세부 대피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철수할 방침이다.
트리폴리 등 서부지역 근로자들은 육로를 통해 인접국 또는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인근도시로 이동한 후 항공과 해상을 통해 제3국으로 이동할 예정이며, 동부지역 근로자들도 육로로 인접국 및 해상으로 철수할 계획이다.
특히 현재 가장 치안이 열악한 트리폴리 및 벵가지 거주 근로자들은 즉시 철수를 독려하고, 항상 연락이 가능하도록 통신수단을 확보토록 요청했으며, 소규모 체류 인력을 보유한 업체들은 대기업과 공조해 대피계획을 수립토록 조치했다.
정부는 리비아에 체류하고 있는 우리 건설 근로자의 철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외교부 주관으로 우리 국민 철수지원을 위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가동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해외건설현장 위기사태 대응을 위한 비상대책반’을 가동해 우리 건설기업과 근로자의 피해상황 접수·보고, 사고조치계획 마련, 종합적인 상황통제, 외교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 유지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인천공항공사 및 항공사와 협조해 리비아 공항 폐쇄와 운항정보를 공유하고, 인접국으로 대피가 곤란한 긴급상황에 대비, 재외국민 철수를 위한 대책도 병행해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