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세월호 유족들 고통 앞 중립적일 수 없었다"
전세기 안 기자회견서 "위안부 피해자, 인간적인 품위를 잃지는 않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18일(현지시각) 4박 5일간의 방한 기간동안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깊은 관심을 보인 이유에 대해 “유족들의 고통 앞에서 중립적일 수 없었다”고 밝혔다.
교황은 이날 방한 일정을 마치고 바티칸으로 돌아가는 전세기 안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추모 행동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는가’라는 질문에 “인간적인 고통 앞에 서면 마음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게 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교황은 “(세월호 추모) 리본을 유족에게서 받아 (가슴에) 달았는데 반나절쯤 지나자 어떤 사람이 내게 와서 ‘중립을 지켜야 하니 그것을 떼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라고 물었지만 ‘인간적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는 없다’고 말해줬다”고 설명했다.
실제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15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세월호 추모의 의미가 담긴 노란 리본을 선물 받은 뒤 방한 기간 내내 미사 등 각종 행사에 착용하고 다녔다. 이날 귀국길 기자회견에도 교황의 왼쪽 가슴에는 노란 리본이 그대로 달려 있었다.
교황은 “희생자의 아버지, 어머니, 형제, 자매를 생각하면 그 고통이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라면서 “내 위로의 말이 죽은 이들에게 새 생명을 줄 수는 없지만 희생자 가족을 위로하면서 우리는 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인간적인 품위를 잃지는 않았다”
이와 함께 프란치스코 교황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해 “한국민은 침략의 치욕을 당하고 전쟁을 경험한 민족이지만 인간적인 품위를 잃지 않았다”며 “오늘 할머니들을 만났을 때 이분들이 침략으로 끌려가 이용을 당했지만, 인간적인 품위를 잃지는 않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교황은 “할머니들은 이용을 당했고 노예가 됐다”면서 “이들이 이처럼 큰 고통 속에서도 어떻게 품위를 잃지 않았는지 생각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남북문제에 대해서는 “분단으로 많은 이산가족이 서로 상봉하지 못하는 것은 고통”이라면서도 “남북한은 자매처럼 같은 언어를 쓴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어머니가 같다는 말”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스페인어를 완벽하게 말했다”며 “박 대통령이 남북통일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스페인어로 ‘희망을 결코 잃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프란치스코 교황은 인기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을 돌아보면서 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황은 “인기라는 것은 기껏해야 2~3년밖에 가지 않는다”며 “거만해지지 않고 내적으로 내 죄와 잘못을 돌이켜 본다”고 말했다. 또 “하느님의 백성에게 좋은 일이 있기를 기원하고 하느님의 백성이 행복한 데 대해 감사하면서 살고 있다”고도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