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대구 중소기업인들과 오찬 자리에서...
15일 창조경제혁신센터 부지 방문, 국정 동력 발판 마련 효과도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대구가 다시 한 번 도약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서는 추격형 경제 패러다임의 한계를 넘어서 창조경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구지역 중소·중견 기업인들과 오찬을 갖고 "정부는 대구의 창조경제 구현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삼성의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지역의 벤처·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상품화, 판로개척 등을 지원해 창업 벤처기업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성장해 나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같은 모델을 전국 17개 시도에 확산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기업현장에서 느끼는 애로사항 등을 청취하고 '창조경제'를 통한 활로를 함께 모색했다. 특히 섬유, 염색, 자동차부품, 메카트로닉스 분야 30여명을 포함한 대구 중소·중견기업인 66명으로부터 창조경제를 통한 성공담과 함께 제도개선에 대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박 대통령은 또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사다리도 더욱 튼튼하게 할 것"이라며 "내년도 중소·중견기업 지원예산을 7조9000억 원 규모로 증액하고, 지방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1조원 규모의 전용 설비투자펀드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청와대는 섬유, 염색, 자동차부품, 메카트로닉스 분야의 경우 그동안 대구의 주력산업이었지만 최근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격려의 차원에서 특별히 초청했다고 전했다.
대구지역 섬유·염색업계는 지난 15년간 1400여 곳이던 업체수가 현재 800여 곳으로 감소하고, 종사자도 6만여 명에서 2만6000여명으로 줄어드는 불경기를 겪고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텃밭인 대구를 찾은 것은 이번이 취임 후 세번째다.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창조경제의 시동은 물론 자신의 텃밭을 찾아 여론을 환기시켜 국정 동력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대구 방문과 관련해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통령 경제행보의 초점이 이번 행사를 계기로 규제개혁에서 창조경제로 이동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