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보수혁신위? 이름 걸맞게 할 수 있을지..."
라디오 출연서 "새누리당에 오너십 가진 사람이 없다" 비판도
새누리당 소속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29일 국회 정상화가 불투명한 상황과 관련, “새누리당에는 지금 오너십을 가진 사람이 없다”고 쓴소리를 날렸다.
홍 지사는 이날 오전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여야에 절대 강자가 없다보니까 당 운영이 소계파 중심으로 다 이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절대 강자가 없다보니) 당의 중심이 없고 협상을 해도 깨지고, 또 협상의 주체도 모호해졌다”면서 “그러다보니 정치가 정리가 안 되고 계속 꼬리에 꼬리를 물고 혼란만 계속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 지사는 당내 최대 계파인 친박(친박근혜)계에 대해서도 “정권 초기에 반짝했다가 사실상 지난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와해가 돼 버렸다”며 “전당대회를 할 때 소위 친박 대표성을 가진 사람들이 떨어졌다. 당 대표도 안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권 출범하고 난 뒤 친박의 중심이 되는 인물도 없고, 또 친박 전체를 끌어갈만한 동력도 없다”면서 “정권 초기인데도 주류인 친박이 전당대회에서 당원들로부터 외면을 당하는 그런 현상이 일어났다”고 꼬집었다.
홍 지사는 또 당내 보수혁신특별위원회에 대해 “과연 그 이름에 걸맞게 (혁신을) 할 수 있을지 상당히 고민을 해야 될 것”이라며 “혁신위가 아니고 보수혁신위라고 했기 때문에 대한민국 보수층들의 문제점을 우리가 짚어야 한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그는 “소위 보수 정치인의 제일 처음 문제점이 부패인데 부패청산을 어떻게 할 것이냐가 첫 번째이고, 두 번째는 강경대북보수를 어떻게 완화시키고 재정립할 것인가 다뤄야 한다”면서 “보수혁신이라고 했으니까 그런 대명제를 다뤄야 하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홍 지사는 특히 안보보수 문제에 대해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남북 분단이 돼 있기 때문에 외국하고 달라서 보수층의 안보보수 문제가 있다”며 “그 문제도 (거론)하려면 대북관계 스탠스를 재정립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홍 지사는 여야간 세월호 특별법 협상이 중지된 것과 관련, “국회에서 1차 합의를 해서 또 문제가 생기고 2차 합의까지 했다면 야당이 책임지고 풀어야 할 문제”라고 못을 박았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 야당이 대화의 상대가 돼가지고 협상의 주체가 될 수 없다”며 “세월호법이 아닌 다른 정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야당이 협상 파트너가 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