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유족 "단원고 대책위 참여 3자협의체 염려"
"일반인 대책위도 함께 할 수 있는 기틀 마련해달라"
세월호 사고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은 30일 현재 여야간 세월호 특별법 협상에 단원고 희생자 유족 대표가 참여해 사실상 3자 회동 형태를 띤 것에 대해 “우리도 유가족 대책위가 존재한다”고 반발했다.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 등과 면담을 갖고 “세월호 특별법 제정에 단원고 대책위가 3자 협의체로 들어가는 것인지 염려스럽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명교 일반인 대책위 대변인은 “일반인 유가족도 대책위가 있는데 일방적으로 단원고 대책위의 사고방식으로 가서는 안 된다”면서 “일반인 유가족이 또다시 배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인 대책위도 3자 협의체에 함께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우리도 길거리로 나가 시위를 못하는 것이 아니다”며 “길거리로 나갔을 때 유가족의 순수성을 잃을 수 있어서 참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흘러가면 우리도 장담을 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 원내대표는 “3자 협의체라는 말을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는데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라며 “협상의 주체는 여당과 야당이지 단원고 대책위는 협상의 주체가 아니다”라고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원내대표는 “협상의 주체로 한 게 아니라 말씀을 듣고 존중하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협상의 마지막 단계로 들어가면 여러분도 논의 내지는 말씀을 함께 하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일반인 대책위는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에게 수차례 만나달라고 요청했는데 이제까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섭섭하다”며 이 원내대표에게 면담을 주선해 줄 것을 부탁했다.
이 원내대표는 “나는 지금 양쪽을 다 만나고 있는데 새정치연합도 일반인 유가족을 이른 시일 내에 만나도록 촉구하겠다”면서 “(일반인 대책위를 만나지 않는 것은) 잘못된 것 같다. 내가 대신해서 사과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한 일반인 유가족이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로서는 상실감이 크다. 의지를 갖고 세월호 특별법이 제정되도록 꼭 좀 부탁한다”고 당부하자 이 원내대표는 “송구스럽다. 소홀히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