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단통법 본격 시행…이통사들 '쥐꼬리 보조금' 왜?


입력 2014.10.02 08:30 수정 2014.10.02 08:39        김영민 기자

갤럭시노트4 보조금 최대 15만원…저가 요금제 가입시 3만원대

이통사, 무리한 보조금 책정 피하고 경쟁 상황에 따라 탄력 운영 예상

SK텔레콤 휴대폰 지원금 공시 캡쳐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본격 시행된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의 소극적인 보조금 지급에 나서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그동안 2년 약정과 고가 요금제에 가입하면 적어도 수십만원의 보조금을 받는 것에 익숙한 소비자들은 이통사들이 최대 15만원 수준의 보조금을 고시하자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단통법 시행 첫날인 지난 1일 자사 홈페이지에 단말기별 보조금 규모를 고시했다.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노트4'의 경우 SK텔레콤은 전국민무한100 요금제에 가입하면 '11만1000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KT는 완전무한97 요금제 가입시 '8만2000원', LG유플러스는 LTE89 요금제에 '8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갤럭시S5'에는 13만3000~15만원의 보조금이 지급되며, 'G3'에 지급되는 보조금은 11만~15만9000원 수준이다.

3만4000원 저가 요금제로 가입하면 보조금은 훨씬 줄어든다. 단말기별 보조금이 갤럭시노트4는 3만원대, 갤럭시S5 4만~5만원대, G3 4만~6만원 정도다.

단통법 시행으로 소비자들은 자신이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단말기에 얼마나 많은 보조금이 지급되는지 이통사별로 파악하고 구입할 수 있게 됐지만 시행 전과 비교해 크게 줄어든 보조금 규모에 실망하는 분위기다.

회사원 강모(33)씨는 "단통법 시행으로 누구나 같은 조건으로 스마트폰을 구입할 수 있다고 해서 매장을 방문했는데 예전의 절반도 안되는 보조금 지급으로 휴대폰 구입 부담이 커져 당황스러웠다"며 "중고폰으로 눈을 돌려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대리점과 판매점들도 줄어든 보조금 탓에 소비자들의 가입이 크게 줄자 당혹스러운 표정이다.

서울 종로의 한 판매점 관계자는 "지난달 영업정지로 수익이 크게 줄었는데 단통법 시행 첫날부터 줄어든 보조금으로 매출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얼어붙은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30만원대 보조금 지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단말기 보조금 규모가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바뀔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업계 고위관계자는 "이통사들이 단통법 시행 첫날 보조금 규모를 소극적으로 책정한 것은 일단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또 예전과 같이 가입자 확보를 위해 스팟성으로 보조금을 쏟아붓지 못하고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무리한 보조금 책정은 피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보조금 규모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경쟁 상황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단통법 시행 초기에는 이통사들이 서로 눈치를 보면서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쪽을 흘러갈 것"이라며 "보조금이 적게 책정될 경우 이통사는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제조사는 판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통사들은 일주일 단위로 보조금 정책을 바꾸면서 탄력적인 운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영민 기자 (mosteve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영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