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연간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 79억…우리·국민·현대 순


입력 2014.10.15 09:19 수정 2014.10.15 13:25        윤정선 기자

<정무위>지난해 우리카드가 위변조 부정사용액 가장 많아

유의동 의원 "카드사들 FDS 도입에는 늑장 부려"

지난 2010년부터 최근 4년간 위변조 신용카드 부정사용액이 증가세를 보였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해마다 위변조 신용카드 부정사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 도입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지난 2010년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57억원 수준이었으나 2012년 67억원, 지난해 79억원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의 경우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가장 많은 카드사는 18억원으로 우리카드였다. 이어 국민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순으로 부정사용액이 많았다.

문제는 카드사의 대응이다. 유 의원은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급증하고 있음에도 카드사 대부분 이를 방지하기 위한 FDS 도입에는 늑장을 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도별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 현황(유의동 의원 자료 재구성) ⓒ데일리안

FDS는 과거 결제정보나 회원의 기본정보를 활용해 부정사용을 걸러내는 시스템을 말한다. 일례로 출입국기록이 없는 카드회원이 해외가맹점에서 결제했을 경우 이를 위변조나 타인에 의한 부정사용으로 잡아낸다.

올해 지난 8월 말까지 최근 5년간 카드사별 FDS 적발금액을 보면 국민카드가 536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삼성카드와 하나SK카드도 72억원 상당의 위변조 부정사용액을 FDS로 걸러냈다.

한편, 외국인들의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2013년 1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국제카드에 대한 FDS 시스템은 신한, 롯데, 외환 등 3개 카드사만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 의원은 "신용카드 위변조 부정사용액이 매년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FDS 도입 등 관련 대책 마련에 인색하다"면서 "금융위가 신용카드 부정사용에 대한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FDS도입과 관련해 업계와 보안전문가와도 적극적으로 소통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윤정선 기자 (wowjot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윤정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