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희상 대표연설 언급한 '핵심단어' 비교하니...
'국민-경제-복지' 똑같지만 김무성 '공무원' 문희상 '개헌'
김무성의 '사회적 대타협 운동' 문희상의 '국민대타협위원회'도 '눈길'
이례적으로 같은 날 교섭단체대표연설에 나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비슷한 듯, 비슷하지 않은 주장을 내세웠다. 두 대표 모두 국민과 경제, 복지를 최우선으로 강조한 것은 동일했지만, 세부 내용에서는 전혀 결이 다른 모습을 보인 것이다.
김 대표는 30일 취임 이후 첫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국민’을 47회로 가장 많이 언급했다. 이어 경제(31회), 복지(21회), 안전(16회), 공무원(15회), 개혁(15회), 세월호(6회) 순으로 나타났다.
문 비대위원장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김 대표와 마찬가지로 국민(52회)을 가장 많이 언급했으며, 이어 대통령(26회), 경제(22회), 복지(21회), 안보(8회), 개헌(4회), 공무원(4회), 전작권(2회) 순이었다.
문 비대위원장이 두 번째로 많이 언급한 ‘대통령’을 제외하면 양 대표의 핵심단어 중 1~3위가 ‘국민-경제-복지’로 똑같다. 이는 최근 우리 사회의 최대 화두인 ‘경제 살리기’와 ‘복지 문제’라는 점을 반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4위부터의 핵심단어 언급 순위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김 대표는 세월호 참사에 이어 연이어 발생한 안전사고를 감안한 듯 ‘안전’이라는 단어를 16회 언급했다. 또 ‘공무원연금 개혁’ 문제라는 큰 과제의 처리를 위한 공무원 사회의 협조를 당부하면서 ‘공무원’과 ‘개혁’이라는 단어를 각각 15회 사용했다.
반면 문 비대위원장은 최근 불거진 방산비리와 박근혜정부의 외교통일안보 전략을 지적하면서 안보(8회)와 전작권(2회)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특히 최근 정치권에 불어 닥친 개헌론에 불일 지피며 김 대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개헌’이라는 단어도 4회 언급했다.
이와 함께 김 대표와 문 비대위원장은 각각 최대 화두로 내세운 ‘사회적 대타협’과 ‘분권형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한 개헌론에 대해서 전혀 다른 입장을 보였다.
김 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대한민국이 직면한 총체적 위기상황을 감안해 고통분담을 통한 사회적 대타협 운동을 벌일 것을 제안한다”며 “세금을 덜 내고 낮은 복지수준을 수용하는 ‘저부담-저복지’로 갈 것인지, 세금을 더 내고 복지수준을 높이는 ‘고부담-고복지’로 갈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문 비대위원장은 “여야, 직장인, 자영업자 등 각 계층을 대표하는 단체와 전문가들이 폭넓게 참여하는 국민대타협위원회를 구성해 사회보장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과정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측이 모두 사회적 대타협을 강조했지만 사실상 김 대표는 고통분담 차원에서 과도한 복지정책 제한을, 문 비대위원장은 복지확대를 위한 재원 마련 방안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개헌에 대해서도 김 대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반면 문 비대위원장은 “올해 내로 개헌특위를 가동시켜 20대 총선 내 개헌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힘을 실으면서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다.
김 대표는 연설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문 비대위원장이 주장한 개헌특위 구성에 대해 “그것은 내가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개헌과 관련된 언급을 일절 삼갔다.
한편, 김 대표와 문 비대위원장은 연설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서로의 연설에 대해 후한 평가를 했다. 김 대표는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고 소감을 전했고, 문 비대위원장 역시 “차분하고 실용적인 접근이다. 여당 대표답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