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직에 ‘철도학교 출신’ 관행 깨고 ‘혁인인사’ 단행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은 그동안 주로 철도학교 출신이 배치됐던 토목직에 비(非)철도학교 출신 사무직을 앉히는 등 특탄의 조치를 포함한 탕평인사를 단행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철도공단은 이번 인사가 그동안 철도납품 비리의 원인으로 거론돼 온 철도학교 출신 집중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 철피아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철도공단의 부장이상 간부 중 철도사업 핵심인 토목직은 철도학교 출신이 70%(철도대 45%, 철도고 25%), 전기직의 경우 78%(철도대 28%, 철도고 50%)에 달한다.
이에 건설·기술 등 특정부서에 철도학교 출신이 집중돼 있어 비리발생의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외부에 인식돼 왔다.
철도공단은 이에 이번 인사에서 부장이상 직위에 대해 부서별 철도학교 출신 비율을 50%이하로 낮췄다. 철도고 또는 철도대 출신이 직속 상하관계에 같이 배치되지 않도록 지휘관계상의 교차인사를 단행했다.
또 12월 초에 있을 차장이하 직원에 대한 2단계 탕평인사를 포함, 연말까지 철도학교 출신의 부서별 편중을 대폭 해소할 계획이다.
강영일 이사장은 "향후 학연이나 지연 등을 통한 줄서기나 인사 청탁을 철저하게 배제하겠다"며 "승진과 주요보직 발탁은 청렴성에 중점을 두고 성과와 능력을 충분히 검증해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철도공단은 이번 인사혁신이 그동안 불명예스러운 꼬리표 같았던 '철피아'라는 오명을 벗고, 청렴조직으로 새롭게 거듭나기 위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