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 성범죄 모바일 실시간 신고로 한방에"
열차 위치·칸 번호…경찰·지하철보안관에게 원스톱 통보
지하철 보안관 확충 등 '안심지하철 종합대책' 시행
서울지하철 내에서 성추행 등의 범죄가 발생했을때 실시간으로 해당 열차 위치와 칸 번호를 경찰과 지하철 보안관에 신고해 출동으로 이어지는 ‘원스톱 모바일 앱’ 서비스가 시행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안심지하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종합대책은 실시간 신고 서비스인 모바일 앱 ‘지하철안전지킴이(가칭)’ 시행과 더불어 지하철 보안관 인력 및 지하철역 세이프존 확대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그동안 열차내에서 발생하는 성추행, 소매치기, 응급환자 등의 각종 사건·사고를 알리기 위해서는 승객이 지하철 콜센터나 112에 전화해서 현재 위치와 칸 번호 등의 자세한 상황을 설명해야 했다. 이에 따라 신고 절차의 어려움과 지하철 보안관이나 경찰이 현장까지 출동하는데에도 20~30분이 걸리는 등의 애로사항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지하철 안전지킴이(가칭)’ 모바일 앱 서비스는 신고자의 정확한 탑승위치가 콜센터와 보안관, 경찰에 실시간으로 접수돼 대응이 획기적으로 빨라지게 되고, 현장 검거로 범죄에 대한 경각심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 앱은 전동차 각 칸에 설치된 와이파이(wifi) 통신망을 활용해 신고자의 휴대전화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신고가 접수된 열차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지하철보안관이 출동하는 동시에 경찰에도 통보된다.
이권수 서울시 정보관리처장은 “현장에서 통화를 하거나 문자로 상황을 상세하게 신고하기 어려운 경우 앱 한가운데 버튼 하나만 누르면 바로 신고되고, 목격자가 사진을 찍어 실시간으로 신고할 수도 있어 현행범을 잡는데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앱을 통해 이동상인 및 냉·난방, 종교 활동 등 열차내 불편민원 접수도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져 전반적인 열차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시는 심야시간대에 보호받을 수 있는 시민안전지대인 '세이프존'을 현재 6개에서 2015년 1월까지 16개 역사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세이프존은 승강장 한편에 마련된 전동차 한 칸 크기의 안전지대로 CCTV 집중 설치와 모니터링, 사회복무요원 배치 등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또한 지하철 보안관도 앞으로 4년 간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1~8호선의 경우, 2011년 9월 75명 채용을 시작으로 현재 총 149명이 활동하고 있다. 시는 매년 50명 내외를 추가 배치해 2018년까지 35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CCTV와 비상통화장치, 여성화장실 비상벨 등 범죄예방시설도 대폭 확충하고 점검도 강화된다. 시는 전동차 내 CCTV를 현재 1876대에서 2022년에는 3116대로 확대하고 여성화장실 내 비상벨도 2개월마다 정기점검 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2011년 1월에서 올해 9월까지 경찰에 접수된 지하철 범죄 신고는 총 6759건으로 이중 성범죄 신고가 가장 많았고 절도와 폭력이 뒤를 이었다.
호선별 범죄 신고는 2호선이 2492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1호선(1324건), 4호선(876건) 순이었다. 성범죄 신고 최다 역사는 서울역, 신도림역, 사당역 순이었다.
시는 범죄 신고건수가 많은 1~4호선 구간을 대상으로 지하철안전지킴이 앱을 먼저 운영하고 오는 3월부터 5~8호선으로 확대 운영, 그 밖에 9호선·코레일 구간은 추후 협의해 확대할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