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올해 4.3추념식 박 대통령 참석 건의"
제주도 현장최고위서 "제주공항 확장 7월까지는 확정해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9일 정부의 제주국제공항 확장 계획과 관련해 “올해 11월까지 예정된 제주공항 확장에 대한 용역 조사 중 터미널 확장 여부를 늦어도 7월까지는 별도로 확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청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더 적극적인 사고로 여객 터미널 용량을 지금보다 (연간) 230만명 가량 늘리는 터미널 확장 계획을 빨리 확정해 착공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제주공항은 포화상태로 한계에 다다랐다. 최근 저비용 항공사의 성장과 중국 관광객의 급증 등 수요 증가를 보면 문제가 더 심각하다”며 “제주도가 혼잡한 공항, 좁은 문으로 인해 찾아오는 손님을 다 수용 못해 더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날 정부가 제시한 제7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거론하며 “제주도에 면세점 한 곳이 설치되고 해양관광도 활성화할 예정이라는 것은 반갑기는 하지만 이런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제주공항의 시급한 확장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무리 관광자원이 많아도 관문이 좁으면 관광객이 들어오지 못하고 다른 시설 확충은 의미가 없게 된다”며 “제주도나 국토부 계획, 제주도민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현재 작업은 땜질식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전문가들의 객관적 검토 결과를 수용함과 동시에 사업검토 및 추진과정에서 현장과 제주도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며 “새누리당은 제주공항 문제를 한 개 지방자치단체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최선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 문제를 다루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정당은 선거를 위해 존재하는데 새누리당은 지난 17대 때부터 내리 3차례나 제주도 내 3개 지역구에서 단 한곳도 얻지 못하고 전패했다”면서 “이것은 새누리당이 그만큼 제주도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했다는 증거로 마음 속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에 참석한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동남권 신공항과 제주공항은 서로 우선순위를 다투는 문제가 아니다. 각각 진행될 것”이라며 “제주도에 일개 지방공항을 만드는 차원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원 지사는 “중국이 G2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관문을 어떻게 확대해서 미래를 준비할 것이냐는 국가전략차원의 인프라 사업뿐 아니라 국제자유공항의 기능까지 염두에 둬서 아시아 최고의 공항, 미래 선도공항으로서의 내용을 채워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제주 강정마을 민관복합항 문제와 관련해 “공사는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고 올해 완공을 한다”며 “문제는 강정마을을 중심으로 한 주민들 간의 갈등과 상처가 잘 치유되는가인데 이는 집권당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군관사의 부지 문제로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해군도 법만을 내세울 게 아니라 주민과의 갈등을 지혜롭게 마무리 할 수 있는 화합적, 정무적 판단에 귀를 기울일 수 있게 여당이 중재의 힘을 실어 달라”고 당부했다.
제주4·3문제에 대해서도 “국가적인 의미 부여에 있어서 박근혜 대통령이 추념 차원에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큰 마무리이자 선물”이라며 박 대통령의 추념식 참여를 부탁했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최고위에 앞서 4·3 평화공원을 참배한 자리에서 ‘박 대통령에게 4·3 추념식 참석을 적극 건의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 다같이 갈등을 없애고 (4·3 국가추념일에) 대통령이 오시도록 해야 되지 않겠는가”라며 올해 4·3희생자 추념식에 박 대통령의 참석을 건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