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 VOD 로딩시간 제로…'클라우드 방송' 실시
셋톱 교체 없이 바로 적용 가능
지난 5일부터 강원지역서 서비스 시작, 오는 4월까지 모든 권역 적용
CJ헬로비전은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방송(Cloud Broadcast)’ 상용서비스를 시작하고 전면적인 케이블방송 서비스의 혁신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CJ헬로비전은 클라우드 방송 서비스를 지난 5일부터 강원지역에서 시작했으며 오는 4월까지 모든 방송권역에 적용한다.
클라우드 방송을 통해 시청자들이 직접적으로 체감하게 되는 장점은 압도적으로 빠른 반응속도다. 특히 주문형비디오(VOD)를 선택했을 때 로딩시간은 0.2~0.3초로 사용자들이 느끼는 반응속도는 제로(Zero)에 가깝다.
또한 CJ헬로비전의 디지털방송 가입자 모두가 셋톱박스(STB) 교체 없이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해 클라우드 방송을 접할 수 있다.
클라우드 방송은 클라우드 스트리밍(Cloud Streaming) 기술을 적용해 셋톱박스의 기종, 운영체제(OS), 성능에 상관없이 고품질의 방송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송기술이다. 클라우드 서버의 연산·데이터 처리능력으로 기존 셋톱박스 보다 최저 7배에서 최고 30배 빠른 서비스 속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저사양의 셋톱박스에서 구현이 불가능했던 멀티미디어 콘텐츠, 모바일 연동 등 고성능의 스마트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방송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앞으로 케이블방송(SO)은 클라우드 방식으로 방송플랫폼 환경만 개선하면, 새로운 셋톱박스의 도입 없이 고품질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구조를 갖추게 된다.
김진석 CJ헬로비전 김진석 대표는 “올해 클라우드 방송을 기반으로 케이블TV의 혁신을 강도 높게 추진해 방송서비스의 진화를 주도할 것”이라며 “클라우드 방송이 초고화질(UHD), 스마트 등과 함께 케이블TV의 새로운 아젠다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CJ헬로비전은 클라우드 방송을 기반으로 다양한 방송서비스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지난해 30% 이상 급성장한 VOD 서비스의 상품경쟁력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상반기에는 △클라우드 인터페이스(UI) 개선을 통해 VOD 이용자의 편이성과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클라우드 플랫폼의 고도화를 통해 △개인화된 사용자환경 구축 △일반 HD셋톱 가입자에게 스마트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TV 앱서비스 등을 추진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