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완구 총리 됐어도 충청권은 부글부글 '새정치 나와'


입력 2015.02.16 17:30 수정 2015.02.16 17:45        김지영 기자

'충청 홀대론' 우려에 급부상 '이완구 동정론'에도 새정치련 반대표

"문대인 호남 총리론과 이완구 총리 부적격성은 별도의 문제" 관측도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6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대한 투표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우윤근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6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가결 처리된 직후 의원석에 모여 무언가 논의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16일까지 상황의 변화를 지켜보겠다. 그리고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는 그 사이에 해명되지 못했던 의혹들을 제대로 해명하기 바란다. 많은 의혹들이 정리되지 않았다. 정리가 필요하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12일 예정됐던 국회 본회의 연기를 요구하면서 내세웠던 명분이다. 당시 새정치연합은 인사청문회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들이 제대로 해명되지 않은 점, 이 후보자 임명에 여론이 부정적인 점, 이 후보자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할 기간이 필요한 점 등을 들어 본회의 개회를 반대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의 본회의 연기는 결국 자충수가 됐다. 특히 공백기간 동안 충청권 여론이 새정치연합에 불리한 방향으로 기울면서 ‘충청권 민심 이탈’은 향후 새정치연합이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됐다.

충청권 ‘이완구 임명’ 찬성 여론 12일 이후 급증

여야는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을 재적의원 281명 중 찬성 148표, 반대 128표, 무효 5표로 가결했다. 앞서 새정치연합은 의원총회를 열어 본회의에 전원 출석키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새정치연합은 충청권 민심을 잃었다. 리얼미터가 지난 11일부터 3일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전·충청·세종 지역에서 이 후보자 임명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11일 33.2%에서 12일 66.1%로 급증했다. 13일에는 65.2%로 소폭 감소했으나, 반대 여론(29.2%)보다는 36.0%p 더 높았다.

이 여론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1500명 대상 유·무선 임의번호 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p였다. 다만 충청 지역 표본은 별도로 공개되지 않았다.

12일은 여야가 본회의를 연기하기로 합의한 날이었다. 또 충청 출신 새누리당 의원들은 같은 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리기도 전에 충청 출신이라는 이유로 반대했던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호남 총리론’을 내세우며 지역정치를 조장했다”고 비판했다.

더욱이 표결에서 새정치연합이 ‘반대 표결’을 당론으로 정하지 않았음에도 반대표가 128표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충청 유권자들 입장에서는 새정치연합이 충청 총리를 반대했다고 받아들여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지역주의 프레임이 일정 부분 먹혀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회의를 연기한 배경에 ‘호남 총리론’이 덧씌워지면서 이 후보자에 대한 동정론이 힘을 얻었다는 관측이다.

앞서 문 대표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호남 인사를 (국무총리로) 발탁했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고 말해 지역주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여기에 지난 11일 인사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강희철 충청향우회장은 “충청도에서 후보가 나오는데 호남 분이 계속 하지 않느냐”고 말해 ‘충청 차별론’에 불을 붙였다.

이 같은 여론은 정당 지지도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리얼미터가 지난 9일부터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충청 지역에서 새누리당의 지지도는 46.9%로 전주 33.8% 대비 13.1%p 급등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의 지지도는 지역·연령·직종을 망라한 전 계층에서 고르게 상승한 데 반해 충청 지역에서는 부진했다.

이 조사는 임의번호 걸기(RDD)를 통한 전화면접(CATI)과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p였다. 유·무선 비중은 각각 50%였다.

다만 새정치연합 내에서는 이 같은 상황이 다음 선거 때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충청 지역을 지역구로 둔 한 새정치연합 중진의원은 16일 ‘데일리안’과 전화통화에서 “문재인 대표의 호남 총리론과 이 후보자의 총리로서 부적격성은 별도의 문제”라며 “(12일 전까지 여론조사에서 드러났듯) 이 후보자에게 문제가 있다는 건 충청 도민들도 다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문제가 길게 가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에 이 후보자가 충청권이기 때문에 총리를 시켜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던 사람들은 다 정치꾼들로 봐야 한다. 충청 도민들도 이 후보자의 문제점을 그대로 덮고 가자는 건 아니었던 만큼, 일정 부분 양해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영 기자 (j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지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