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취업, 이젠 '스펙'보다 '직무능력' 본다
서류·면접은 올해부터 도입…필기는 1년후 도입 예정
"스펙쌓기 부담 줄이고 직무능력 중심으로 평가한다"
130여개 공공기관이 올해 신규채용에서 국가가 만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도입할 예정이다.
24일 정부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130여개 공공기관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은 취업준비생의 과도한 스펙 쌓기 부담을 줄이고 해당 직무에 필요한 인재채용을 위해 정부가 만든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공공기관이 신규채용에 적극 도입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자리이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기술·소양 등을 정부가 산업 부문별 및 수준별로 체계화한 표준이다. 공공기업들은 NCS를 기반으로 한 채용 모델을 서류 및 면접전형에 도입해 직무능력이 높은 직원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NCS 기반으로 한 채용 인원은 올해 전체 공공기관 신규 채용인원 1만 7000명 가운데 3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봉환 기재부 공공혁신기획관은 "대학 교육을 마친 입사 지원자들을 실무에 바로 투입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며 "현장의 훈련 과정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무능력중심의 서류전형에서는 직무관련성이 높은 경력 및 업무역량이, 면접전형에서는 직무능력과 관련한 경험 및 업무수행 시 상황별 대처방법 등이 평가된다.
그러나 필기전형의 경우, 취업준비생들에게 준비기간을 주기 위해 기관별로 전형 개편을 공고하고 1년 뒤 도입하기로 했으며, 2017년부터는 100여개가 넘는 기관들이 서류·필기·면접전형에 NCS를 반영할 예정이다.
최 부총리는 "NCS에 기반한 유능한 인력의 확보는 공공기관의 경쟁력을 높여 국책사업 중심으로 중동 등 해외진출을 더욱 촉진할 것"이라며 "스펙을 넘어 직무능력중심으로 가는 NCS의 정착에 공공기관이 선도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