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성완종 파문 특검 필요"…김무성과 '엇박자'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은 12일 일명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 "검찰 수사만으로 의혹 해소가 될 게 아니다"며 특별검사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사망하면서 남긴 금품 제공 리스트에 대해 "특검을 하든 뭐라도 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깨끗하지 않으면 더 이상 나라의 발전, 국민의 행복이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성 전 회장이 남긴 리스트에는 현 정권 실세들의 이름이 거론돼있다.
성 전 회장 사건에 대한 특검 도입 필요성 주장은 야당 일각에서 나왔던 것으로 여당에서 이 같은 언급이 나온 것은 김 위원장이 처음이다. 특히 이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엇박자를 내는 것이라 주목된다. 앞서 김 대표는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우선"이라며 특검 도입을 경계했었다.
김 위원장은 "특검은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후보 당시) 제안했었고 (국회에서) 상설특검법도 통과됐다"며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국민공천제(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공천제를 하면 선거비용이 300억 더 들어가겠지만 비리는 청산할 수 있다"며 "지금의 공천제도는 밀실공천, 투명하지 않은 공천이기 때문에 여러 잡음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천권 때문에 당대표 경선,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돈이 들어가는 일이 생겨왔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위원장은 홍준표 경남지사의 무상급식 중단 논란에 대해서는 "가능하면 재정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하고 돈 있는 사람에게 돈 더 내라는 것은 찬성"이라며 "그런데 무조건 이를 깎아야 한다고 말해버리면 '새누리당은 밥 안주는 정당'과 같이 뜻이 다르게 전달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국회의원 정수를 400명으로 늘려야한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는 "지금 300명도 많다"며 "염치가 있어야지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