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두고 새정치 '역풍 조심'
문재인·박지원·설훈 등 "정치적 활용 원치 않아"
새정치민주연합이 '성완종 사태'를 활용하는 데 있어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재 정국을 뒤흔들고 있는 '성완종 리스트'는 여권을 정조준하고 있는 만큼 4.29재보궐선거에 있어 야권에 호재라는 평이 우세하다. 그러나 이를 과하게 활용할 경우, 여권 지지층의 결집을 유도하는 한편 중도 유권자들에게 거부감을 불러일으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이번 사태와 관련 여권을 규탄하면서도 정치적인 활용에 대해서는 경계했다. 문 대표는 13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최고권력 실세라는 벽을 뛰어넘는 수사가 가능해야 한다. 직책 뒤에 숨어있지 말고 나서서 진실을 밝히고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며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수사 결과에 대해 국민의 신뢰를 얻을 방법이 강구돼야 한다. 필요하다면 야당과도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사건이 또다시 정쟁으로 흐르길 바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박지원 의원도 말을 아꼈다. 그는 이날 SBS라디오에 출연해 사견을 전제로 "국민들의 관심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4월 재보선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우리가 (성완종 사태를) 정치적으로 활용한다,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굉장히 조심스럽게 접근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설훈 의원은 여권의 결집 가능성도 염두에 뒀다. 설 의원은 YTN라디오에서 "(유권자들은) 자기 진영이 위태롭다고 생각하면 뭉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상황이 여당에게 악재인 것은 틀림없지만 반사적 행동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야당 입장에서는 (이와 상관없이) 국민에게 최선을 다하는 자세로 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전에 '초원복국집 사건'이 나왔을 때 보수진영을 뒤흔들어 역효과가 나왔던 사례가 있었다"며 "야당 입장에서는 호재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긴장을 늦출 수도 있겠지만 그런 자세는 금물"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