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N·W 가상화 장비로 'T 와이파이' 성능 향상
가상화 서버로 와이파이 트래픽 관리하는 장비 '클라우드 AC'
SK텔레콤은 'T 와이파이(WiFi)' 체감 품질의 대폭 개선을 위한 와이파이 가상화 장비인 '클라우드 AC(Cloud AP Controller)'를 상용화했다고 14일 밝혔다.
클라우드 AC는 와이파이 트래픽이 몰릴 경우, 가상의 서버를 만들어 이를 해결하는 장비다. 가상의 서버는 이미 구축돼있는 기존 서버의 남는 용량을 활용한다.
또한 고가의 서버를 별도로 구축할 경우 발생하는 비용 부담이나 장애 발생 시 직접 현장을 찾아가야 하는 등의 어려움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클라우드 AC에는 와이파이 사용 중 장소를 옮길 경우 발생 가능한 접속 끊김 현상을 개선하는 ‘패스트 핸드오버(Fast Hand-over)’ 기술도 적용됐다.
접속 끊김 현상은 와이파이 사용자가 접속 중인 ‘AP(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역할을 하는 장비)’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다른 AP 범위로 넘어가는 서비스 경계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패스트 핸드오버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인근의 AP로 자동으로 빠르게 연결해 와이파이 접속이 끊기는 문제를 최소화했다. 더불어 동일 AP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일정 수준의 자원 사용을 보장 받는 ‘자원 최적화’ 기술도 적용됐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와이파이 서비스에 가상화 기술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고객의 와이파이 사용 편의를 큰 폭으로 제고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도 차별화된 신기술과 장비의 도입을 통해 고객들이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