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적반하장도 유분수' 세월호 대책위 "경찰이 먼저..."


입력 2015.04.20 18:11 수정 2015.04.20 18:23        하윤아 기자

광화문 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경찰, 반인권적으로 진압했다" 주장

2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4.16 1주기 추모 탄압 규탄 및 시민 피해상황 발표 긴급기자회견'에서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오른쪽)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국민대책회의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당국이 4·16 1주기에 가족들은 물론 국민들도 추모할 수 없도록 폭력을 휘둘렀다”며 지난 19일 경찰의 브리핑에 맞대응했다.

이들은 현재 지난 18일과 19일 벌어진 서울 도심 집회 도중 경찰이 광화문 광장으로의 행진을 저지한 것과 관련, 헌화와 추모 등 평화적인 행진에 대해 경찰이 과도한 대응과 무리한 진압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은 앞선 브리핑에서 유가족과 집회 참가자들의 행진을 ‘미신고 불법 폭력 집회’로 규정하고 이를 ‘위험’ 수준으로 판단, 수차례 해산명령을 내렸지만 불응해 일부 유가족과 집회 참가자들을 연행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일반교통방해죄’, ‘공무집행방해죄’ 혐의 등을 이유로 유가족을 포함한 집회 참가자 100명을 연행한 바 있다.

광화문 광장을 거쳐 청와대로의 행진은 사전 신고가 이뤄지지 않은 사항인데다 집단적인 폭행, 협박, 손괴 등으로 일반시민의 안전에 직접적인 위협을 끼칠 수 있는 상황이 명백했기 때문이라는 판단에서다.

그러면서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경찰과 의무경찰 등 다수가 다쳤고 경찰버스와 무전기 등 장비가 파손됐다”며 집회 주최 측인 국민대책회의에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대책회의 측은 헌화·추모 등은 신고 사항이 아니며, 경찰의 부상과 장비의 파손은 ‘경찰 지휘부의 반인권적 진압계획이 낳은 결과’라며 반박했다. 경찰이 헌화와 추모라는 순수한 목적에서 광화문으로 행진하는 유가족은 물론 일반 국민들까지 무리하게 진압하면서 과잉 대응을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박래군 국민대책회의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며 경찰의 브리핑 내용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박 공동대표는 미리 준비된 회견문을 통해 오히려 경찰이 버스로 시민들의 통행을 가로막았고 광장 안에 저지선을 쳐 이동의 자유를 짓밟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경찰의 차벽 설치에 대해 ‘위헌’이라고 주장하며 “차벽에 맞서는 것은 국민의 정당한 권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경찰은 광화문으로 가는 것조차도 과잉 대응해 가족과 시민들에게 수많은 피해를 입혔다”고 덧붙였다. 캡사이신 사용과 최루액이 섞인 물포를 발사하는 등 경찰이 공격적인 대응을 하는 과정에서 유가족을 포함한 시민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는 게 국민대책회의 측의 설명이다.

이날 회견에 참석한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소속 전진한 의사는 “수십명의 부상자가 경찰 폭력에 의해 찢어지고 무릎 골절과 손톱 손실, 심한 충격으로 인한 단기의식 상실 등의 증상을 보였다”며 “유가족들은 폭력으로 인해 피부가 찢어지고 둔기에 맞아 조직과 내부장기 손상 피해를 입었고, 타박상 피해 등 부상을 입기도 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전 의사는 이어 “경찰이 마치 시위대에 부상이 없었다는 듯 주장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기만이 아닐 수 없다. 경찰 자신들이 입은 폭력을 강조하는 것은 의사가 볼 때 적반하장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초에 충돌하며 부상이 생긴 것은 불통하면서 위법적으로 차벽을 세워 평화 추모행렬을 가로막은 박근혜 정권의 책임”이라고 일갈했다.

전 의사가 소속된 전강권실천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은 현재 국민대책회의 참여 단체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 이날 유경근 4·16세월호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경찰이 유가족들과 추모 집회 참가자들 속에 섞여 폭력집회를 선동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유 위원장은 “저희가 확인한 것만 3명이다. 버스를 넘어뜨리려면 줄이 필요하다며 칼이 있느냐고 묻는 남성이 이상해 소속을 묻다 실랑이가 벌어졌고, 웃옷이 벗겨졌는데 경찰 명패가 있었다. 또 시민처럼 함께 섞여있던 노란 우의 입은 여성 2명이 자연스럽게 경찰 버스를 왔다갔다하기도 했다”며 향후 이 같은 의심 상황이 발생해 적발되면 신원을 확인해 명확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태극기를 불태워 논란에 쉽싸인 남성에 대해서도 “우리도 수소문해서 찾고 있다”며 그 역시 폭력집회 선동 세력의 소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