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렴구균 미리 조심할 필요 있어
소아에게 흔한 병인 중이염은 우리나라에서 3살 이하 소아의 70% 이상이 한 번 이상은 걸린 것으로 보고된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중이염은 재발 확률이 높고 다른 합병증으로 번질 우려가 있어, 주요 원인균인 폐렴구균을 미리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이염은 나이가 어릴수록 걸릴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다.
2004년 국민건강보험 통계를 기초로 한 논문(2012)에 따르면 1세 유아 1000명 가운데 무려 736.9명이 중이염으로 병원을 찾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리나라에서 중이염 치료에 들어가는 전체 비용(약 6060억원) 중 5세 미만 유아에 쓰인 치료비용이 절반(49.9%)인 3030억원에 달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자료를 보면 2014년에 중이염(비화농성·화농성 등)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248만여명 중 절반이 넘는 140만명(57%)이 10세 미만 어린이였다.
귀는 외이·중이·내이 등 3부분으로 나뉘는데 중이염은 고막부터 달팽이관까지 사이 '중이'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감기나 알레리기 등으로 코 뒤쪽으로 이어지는 가느다란 관(이관·유스타키안 관)이 부어 올라 막힌 상태가 계속되면 고막 안쪽에 진물이 고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에 염증이 생기면 중이염이 된다.
어린이들은 이관이 성인보다 짧고 평평해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환경이다. 면역력도 성인처럼 발달하지 못해 중이염에 자주 걸린다.
중이염을 일으키는 첫 번째 원인은 폐렴구균이다.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심평원에 따르면 2014년 6개월∼2세 미만 영유아의 급성 중이염에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는 86%에 달했다.
그러나 항생제를 자주 처방하면 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재발 확률이 높은 중이염의 특성상, 일단 걸리면 다음에는 더 많은 항생제를 투여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
폐렴구균 백신은 2014년부터 영유아 국가 필수예방접종에 포함돼 있어 생후 2개월∼5세 미만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