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장 "대학생 연봉 3600만원 정도 기업 원해…노사함께 사는 길 만들겠다"
이른바 ‘반값임금’을 제안해 광주지역을 자동차 산업 벨리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윤장현 광주시장이 민주노총의 영향 없이 ‘적정 임금’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노사 간 대타협을 통해 ‘적정 임금’을 결정해도 동일 노동·임금 체제인 민주노총의 영향으로 결국 광주 근로자 임금도 급상승 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한 대답이다.
윤장현 시장은 20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기업에서 결국 평균임금으로 상승한다는 우려를 가질 수 있다”면서 “민주노총을 전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3지대에 광주형 (적정 임금)으로 노사협약을 할 것이다. 제 3지대에 대한 노사협의는 그대로 지켜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시장은 “기업이 자꾸 해외로만 눈을 돌리면 국내 젊은이들의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서 “그래서 대한민국이 도약하기 위해서는 노사 문제 해결이 최우선이다. 이런 현실을 개선해야 하는 절박한 방법은 비정규직이 없는 4천만원 대의 일자리를 제3지대에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경쟁력도 담보되고 근로자들의 고용도 안정되는 그런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 저희들의 계획”이라면서 “대학생들 설문조사를 해보면 연봉 3600(만원) 정도의 대기업이 있으면 좋겠다는 것이 대학생들의 공통적인 판단이다. 광주형 노사민정 대타협을 이루고 광주형 적정 사회적 임금을 만들어서 노사가 함께 살 수 있는 길을 만들어야 되겠다는 큰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들을 해소해나가는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광주공동체가 갖고 있는 미래 지향점들을 통합적인 합의로 정확히 이끌어내는 것”이라면서 “그런 사회족 토대들을 확실히 다져가는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