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 유승민, 친박도 청와대도 거부
친박계 의원들 "사태에 대해 원내대표직 사퇴로 책임져야"
청와대는 "당정협의 의미 없다" 강경 입장 밝혀
원내대표 사퇴 압박과 당정협의 회의론 제기 등 사실상 친박계와 청와대가 모두 등을 돌리면서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2일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유 원내대표에 대해 사퇴요구를 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청와대가 새누리당 원내지도부와 "당정협의를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청와대 측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처음부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지만 유 원내대표는 야당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여 합의안을 내놨다.
이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고 위헌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박 대통령이 개혁 과제로 내세우고 있던 공무원연금개혁안 논의 과정이 흐지부지된 데 대한 청와대의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유 원내대표 체제가 출범한 이후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증세 및 복지 논쟁뿐 아니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공론화 논란 등에서 서로 의견이 맞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당청 갈등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당청 간 소통 문제로 진통을 겪었던 청와대가 이렇게 강경한 입장을 취한 가운데, 친박 의원 모임으로 분류되는 국가경쟁력강화포럼 참석 의원들이 "사태가 커진 것에 대해 책임 지라"며 유 원내대표의 사퇴 압박을 가하면서 유 원내대표의 입장 표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포럼에 참석했던 김태흠 이장우 의원 등은 포럼이 끝난 뒤 기자와의 만남에서 "유 원내대표는 국회에 혼란을 가져온 상황에 대해 분명히 책임지고 원내대표직을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유 원내대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청와대와 친박계 모두가 등을 돌린 상황인만큼 논란 해소에 대한 명확한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