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혁신위 ‘조국 카드’ 득될까 독될까
"밖에서 맘껏 떠드는 것과 안에서 하는 건 다를텐데..." 효력은 미지수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이 10일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당 혁신위원으로 임명했지만, 내홍 수습에 나선 새정치연합에 ‘조국 카드’가 얼마나 효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인선 전부터 비노계를 중심으로 ‘친노 인사’라는 눈초리가 매서웠던 데다, 실제 제도권 정치 테두리 안에서의 경험과 능력 역시 검증된 바가 없어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조 교수를 비롯해 우원식 의원과 최태욱 한림대 교수 등 10명의 인선 결과를 발표하고, 조 교수에 대해선 “이 분은 이름만 들어도 다 알 것이다. 누구보다 우리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에 강한 의지를 갖고 계신 분”이라며 “국민과 당원의 기대를 누구보다 잘 아는 분인 만큼, 강한 혁신의 면모를 보여주실 것이라 생각한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당장 김 위원장과의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익명을 요청한 당 관계자는 “비노쪽이 싫어하는 것도 있지만, 일단 김상곤 위원장이 조국 교수를 별로 달가워하지 않는걸로 안다”며 “무슨 말이든 한마디만 하면 언론이 다 달려들어서 조국 교수에 쏠릴텐데, 위원장이 갖고있어야 할 무게가 그쪽으로 가버리면 좋아할 사람이 어디 있겠나”라고 말했다.
또 지도부를 지낸 수도권 지역 한 의원은 “당 밖에서야 4선 용퇴든 물갈이든 맘껏 말할 수 있지만, 실제 당 안으로 들어와서 보라, 그게 쉬운지”라며 “그 사람 입장에서야 어찌보면 당 밖에서 자기 맘대로 말하고 스포트라이트 받는게 더 좋았을지도 모른다. 진짜 당에 들어와서 공식적인 위원이 되면 그렇게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당 중진급 의원은 앞서 조 교수가 주장한 ‘4선 이상 용퇴론’ 등 4가지 혁신 방안에 대해 “명분이 있어야 한다. 갑자기 와서 4선 이상은 나가라고 하면 누가 그걸 받아들일 수 있겠나”라며 “밖에서 말하는 것과 안에 들어오는 것은 많이 다르다. 게다가 공천이라는 건 사람 하나 죽고 사는 건데, 특별한 명분도 없이 물갈이라며 내뱉는 건 힘을 받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일찍이 문제가 됐던 당내 반발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혁신위 출범의 단초는 사실상 위험수위에 다다른 계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었던 만큼, 결국 핵심 과제는 공천 문제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물론 상징적인 조치이긴 하지만, 김 위원장이 혁신위원장 직을 수락한 직후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조 교수가 ‘친노 인사’라는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한 채 혁신위에 입성한 것은 칼자루를 휘둘러야 할 혁신위원으로서 치명적이다. 이럴 경우 총선을 앞두고 내홍 수습은커녕 ‘친노패권 주의’를 외쳐온 비노계와 문 대표 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한 초선의원은 “혁신위를 100일±α로 한다고 했는데, 조국도 그렇고 이번에 인선하는 걸 지켜보고 또 제대로 안되면 100일이고 나발이고 아무것도 없다”고 경고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날 조 교수 인선에 대해 “조 교수는 그간 새정치연합에 대한 애정을 강하게 갖고 새정치연합이 이렇게 발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많이 내주신 분”이라며 “그래서 그런 조국 교수의 생각과 마음을 우리 새정치연합 혁신위에서 받아들이고, 그러한 입장에서 역할을 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요청했고 본인도 하는 것으로 마음을 먹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조 교수의 ‘4선 용퇴론’과 관련해 “혁신위에서는 혁신위 나름대로의 절차대로 할 것이고 조 교수가 제시한 건 개인 의견일 뿐”이라며 “여긴 개인의견이 있을 수는 있지만 혁신위원으로 활동하는 과정에서는 혁신위에서 갖고있는 원칙과 기준에 따라 같이 토론하고 의견을 모아갈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이번 인선에서 비노계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혁신위원을 선정할 때 새정치연합에서 거론되는 계파와는 무관한 분들을 가능한 한 선정하려고 노력했고, 각 집단에서도 그런 기본적 방침 하에서 위원들을 선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