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WHO "정보 공개 안해서 메르스 초기대응 실패"


입력 2015.06.13 14:19 수정 2015.06.13 14:20        스팟뉴스팀

△소통 △거버넌스 △지방정부의 자원 동원 등도 원인

평가단 "국내외서 신속하고 열린 '의사소통'이 필요"

한국과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 공동단장인 이종구 서울대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센터장(가운데)이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공동단장 케이지 후쿠다 WHO 사무차장.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한국-WHO 메르스 합동평가단'이 중동호흡기증후근(메르스)의 초기대응 실패 원인으로 소통 문제를 꼽았다.

합동평가단은 13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에서 "(한국내) 지역사회 감염의 증거는 없으나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내 메르스 유행이 대규모이고 복잡한 상황이므로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 데 수 주가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평가단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열린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반면 휴교와 같은 조치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경우 신뢰를 저해할 것이므로 수업 재개를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평가단은 한국 정부의 초기대응 실패 원인으로 △소통 문제와 △거버넌스 문제 △지방정부의 자원 동원 문제 등 3가지를 꼽았다.

평가단은 "투명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가 제일 중요했는데 이 부분이 초기대응에 실패한 원인 중 하나"라며 "아울러 리스크를 관리하는 거버넌스가 제대로 확립 안돼 초창기에 혼란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또 "질병확산 규모에 대한 예측실패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원을 동원하는 부분에서 혼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평가단은 지난 9일부터 닷새 동안 삼성서울병원 등 메르스 감염 장소에서 관련 조사를 벌였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