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련, 김한길 소환통보에 '특검' 외치지만...
"야당 탄압, 특검 즉각 도입해야" 외치면서도 "이것밖에 별다른 방법 없다"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이 22일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소환조사를 통보했지만, 새정치연합은 사실상 ‘특검 촉구’ 외에는 별다른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처음으로 야당 정치인을 상대로 소환에 나선 검찰을 향해 ‘야당 탄압’이라며 반박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어서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유력한 증거가 분명하게 있는 사실들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전직 야당 대표를 소환하는 것은 공정치 못한 처사다. 잡으라는 도둑은 안 잡고 진실을 묻으려고만 하는 것”이라며 “야당에 대한 편파적이고 불공정한 모습이 계속될 경우 국민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친박게이트 대책위원장인 전병헌 최고위원도 “성 전 회장이 죽음을 통해 구체적으로 밝힌 사람들은 대부분 유야무야 수사하고, 심지어 형식적 서면수사로 갈음한 검찰이 직전 야당 대표를 이렇게 공개적으로 소환하겠다고 나서는 건 전형적 정치검찰의 모습을 보인 것”이라며 “물타기 수사, 적반하장 수사에 참으로 개탄스럽고 당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있어야 한다. 특히 국회 차원에서 특검 논의를 더 이상 미루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영식 최고위원은 “검찰의 야당탄압이 계속된다면, 우리가 주장해온 별도의 특검을 통해 진실을 규명하고 불법대선자금에 대한 수사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고, 유승희 최고위원 역시 “성 전 회장의 메모를 통해 밝혀진 불법 자금은 그 시기와 금액까지 어느정도 드러났음에도 검찰은 나몰라라하고 있는 것 아닌가. 공정성이 담보된 특검을 통해서만 불법 대선자금 수수관행을 척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지금처럼 특검 도입을 주장하며 검찰의 소환통보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는 것 외에는 당 차원에서도 이렇다 할 방안이 없는 상태다. 검찰이 야당 의원을 상대로 첫 소환조사에 나서며 사실상 수사 방향을 야권으로 돌리기 시작했지만, 그렇다고 지금까지 해왔던 특검 촉구를 제외하고는 이를 막을 만한 뾰족을 내놓기도 어렵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도 “솔직히 이것밖에 뭐 할 수 있는게 없다. 야당이 뭘 하겠나”라며 “맨날 특검해야한다고 말하는 것 뿐이지, 사실 야당으로서 뭘 할 수 있겠냐”라고 토로했다. 또다른 당직자 역시 “특별히 김한길 의원건 때문에 대응책으로 특검을 이야기하는 건 아니다. 원래부터 검찰의 부실수사에 대해서 특검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전날 성 전 회장이 사망 전 김 의원에게 금품 로비를 벌인 정황이 있다며 소환조사를 통보했고, 현재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검찰은 일단 김 의원에 앞서 보좌진을 소환 조사했으나, 성 전 회장이 김 의원에게 불법정치자금을 전달했다는 구체적 진술이나 물증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성 전 회장이 그동안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치인들과 폭넓게 친분을 쌓아 온 만큼, 이번에 김 전 의원을 시작으로 또다른 야당 인사를 겨냥한 수사 확대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공안검사 출신인 황교안 총리가 임명되자마자 검찰이 김한길 전 대표에게 출석을 통보했다”며 “검찰은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여권 인사 중 일부만 소환조사하고 핵심인사에 대해서는 서면조사에 그쳤다. 정치검찰이 정권 눈치를 보는 전형적 봐주기 수사다. 특히 야당 인사에 대해 그것도 전직 대표를 소환조사하겠다는 것은 물타기·짜맞추기 수사를 하겠다는 의도로, 결코 좌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