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끝내 '사퇴 표명 안한' 유승민, 친박의 반격은...


입력 2015.07.06 21:22 수정 2015.07.06 21:30        조소영 기자

친박 김태흠, 7일까지 거취 표명 안한다면 "의총 열겠다" 밝혀

'친박 맏형' 서청원 비롯해 김무성, 유승민과 독대 자리 가져

압박 움직임 커지긴 했지만 '유승민 입' 바라볼 수밖에 전망도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6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일부개정법률안 재의의 건이 상정된 후 잠시 본회의장 밖으로 나오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6일 '자진사퇴'에 뜻이 없음을 밝히면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다시금 '사퇴 압박'을 위한 대열을 갖췄다. 앞서 친박계 의원들은 국회법 개정안 논란의 중심에 선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 시한을 해당 개정안이 재의결에 부쳐지는 이날, 그 다음날인 7일로 잠정 확정한 뒤 그의 '명예로운 퇴진'을 위한다는 명분 하에 사퇴 촉구 목소리를 낮춰왔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사퇴 불가'를 표명하면서 이날 곳곳에서는 그의 사퇴를 직·간접적으로 촉구하는 움직임이 보였다.

유 원내대표는 친박계 의원들의 요구와 관련 일찌감치 거절 의사를 표했다. 그는 이날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거취와 관련해 오늘 의원총회에서 입장을 밝힐 계획이냐"는 질문에 "안하겠다"고 답했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이에 대해 같은 날 오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취재진들과 만나 사퇴에 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내일(7일) 오전까지 유 원내대표가 거취 표명을 하지 않는다면 (거취 관련) 의총을 열겠다"고 말했다. 이미 김 의원은 의총 소집 요건인 '당 소속의원 10분의 1(16명)'의 서명보다 더 많은 30여명의 서명을 받아놓은 상태다.

당초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논의하는 의총은 친박이든 비박(비박근혜)이든 반대 의사를 표명해왔었다. 유 원내대표가 재신임을 받을 땐 박근혜 대통령이, 반대로 박 대통령의 손이 들릴 땐 유 원내대표가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당내 분란을 외부에 여과없이 내보일 수 있다는 위험도 있는 만큼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논의하는 의총은 지양됐었지만 친박계 의원들은 정면돌파를 하지 않으면 유 원내대표가 버티기를 풀지 않으면서 이번 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 맏형'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김무성 당대표도 이날 유 원내대표에게 결단을 촉구한 모양새를 띠었다. 서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후 유 원내대표와 따로 만나 15분간 대화를 나눴다. 서 최고위원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 "내가 (유 원내대표에게) 몇 마디 했지만 공개할 수 있겠느냐"며 "유 원내대표와 나눈 얘기를 말하는 건 온당치도 않고 예의도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서 최고위원은 유 원내대표가 친박이었던 시절부터 매우 가까운 사이로, 이러한 인연 때문에 그간 유 원내대표에 대한 쓴소리를 최대한 자제해왔던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더는 시간을 끌 수 없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파악된다.

뒤이어 김 대표 또한 유 원내대표와 둘만의 시간을 가졌다. 그는 서 최고위원과의 만남이 끝난 유 원내대표와 함께 국회의장실을 찾아 이날 열릴 본회의 의사일정을 협의한 후 원내대표실에서 따로 30분간 얘기를 나눴다. 김 대표는 면담을 끝낸 뒤 기자들이 "무슨 얘기를 나눴느냐"고 하자 "아무 말 안하겠다"며 대답을 피했다. 하지만 김 대표가 "원내대표가 대통령을 이길 수 없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만큼 유 원내대표에게 사퇴 결단을 내려달라고 당부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점심 때는 당내 1940년대 출생 의원들의 모임인 '국사회'가 오찬회동을 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이인제 최고위원과 친박계 서상기, 김태환 의원, 친이(친이명박)계인 이재오 의원 등이 모인 초계파모임인 만큼 유 원내대표 사태에 대한 해법이 나올지 주목됐다. 이들은 회동 직후 기자들에게 "우리가 (그 일에 대해 이 자리에서) 논의하는 게 맞지 않는다"(이 최고위원)며 입을 닫았지만 중진급들이 대거 모인 만큼 당내의 가장 큰 사안에 관해 서로의 입장을 교환했을 것으로 추측됐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겨냥한 친박계 등의 움직임이 이 같이 커지긴 했지만, 사퇴를 촉구할 '명분 있는 카드'가 없는 상황에서 결국에는 '유승민의 입'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는 말도 나온다. 친박계 의원실의 한 보좌진은 이날 '데일리안'과 만나 유 원내대표 사태가 어떻게 정리될 것인지에 대해 "(친박 의원들은) 의총을 소집하는 건 여러 모로 모양새가 좋지 않기 때문에 유 원내대표가 판단해 자연스럽게 정리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박계 의원실의 한 보좌진은 "(유 원내대표가) 안 나가는데 어떻게 하겠느냐"고 말했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