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놓고 새누리당 내부 "당장 사퇴" vs "의총 투표"
김용남 "물러설때 알아야" 하태경 "의총에서 뽑았기에 의총에서 투표로"
정치권 논란의 핵심에 서 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놓고 당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모습이다. 당장 사퇴해야 된다는 의견과 사퇴를 하더라도 의총에서 투표를 통해 사퇴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김용남 새누리당 의원은 7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유 원내대표 사퇴와 관련해 "국회법 폐기가 결정된 직후가 가장 좋은 타이밍이었다고 생각했다"며 "리더는 나설 때하고 물러설 때를 적절히 잘 알아서 판단해야 되는데 그런 면에서 안타깝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지금 이제 추경안 처리까지 계속 원내대표를 맡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추경과 관련해서 원내대표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즉 유 원내대표가 더이상 버틸 수 있는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추경을 이유로 해서 7월 말까지 더 있는 것은 조금 타이밍을 잘못 잡는 것이 아닌가"라며 "정치적인 어떤 책임을 진다는 입장에서 물러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정치적으로 좋은 타이밍에서 결정을 했어야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고 강조했다.
반면 같은 당 하태경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뽑기 때문에 의총을 소집해서 해결하는 것이 현실적인 유일한 대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특히 "의총 소집해서 논의하자는 의견에는 동의를 하고 거기에서도 총의가 모이지 않으면 결국은 의원들의 투표를 통해서 결론을 낼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그러면서 투표 결과를 예측하는 질문에는 "만약에 사퇴해야 한다, 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찬반으로 되면 아마 사퇴 쪽으로 많이 나올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결국 의총을 통해서 유 원내대표가 대통령에게 밀려서 사퇴하는 모양새가 아닌 사퇴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 의원은 "우리 의원들이 명분을 찾아줘야 하고 그 찾아주는 방식은 한두 사람의 의견이 아니라 의원들 전체의 총의로 결의하는 모양새 그게 아니면 결국은 신임 투표를 통해서 걸러내는 방식 이런 방식 말고는 본인 스스로도 탈출구를 못 찾고 있을 가능성이 많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