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거취 놓고 의총 여는 새누리 '폭풍전야'
<현장>친박-비박, 유승민 거취 놓고 막판 신경전
8일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논의하는 의원총회를 앞두고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막판 신경전'을 벌이며 '폭풍전야'의 분위기를 띠었다. 그동안 유 원내대표 사퇴(친박)와 사퇴 불가(비박)로 나뉘었던 두 계파는 이날 의총에 들어가기 직전에도 각각의 목소리를 높였다.
먼저 비박계이자 쇄신파로 분류되는 정두언 의원이 의총장에 들어가기 전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당대표, 친박계 의원들을 겨냥해 쓴소리를 남겼다. 그는 기자들에게 "원내대표 사퇴 결의안과 같은 '개콘' 같은 일을 의총에서 할 게 아니라 다음 지도부와 청와대 대화 촉구 결의안, 이런 걸 좀 주장하고 싶다"며 "대화를 하면 되지, 왜 대화를 안해, 일방적으로"라고 돌직구를 날렸다.
정 의원은 전날에도 김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를 향해 비판의 말을 남겼었다. 그는 보도자료를 통해 "김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는 원내대표를 사퇴시키기 전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자신들의 거취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며 "지도부가 오히려 소속 국회의원들의 손으로 뽑은 원내대표를 보호하기는커녕 청와대의 뜻에 따라 쫓아내려 하고 있다"고 말했었다.
반면 대표적 친박계인 김태흠 의원은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하게 요구했다. 그는 취재진들에게 "의총을 열면서 사퇴를 요구하는, 이런 부분까지는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었는데 오늘 의총을 통해 사퇴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 자체에 대해 안타깝다"면서도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유 원내대표가 이런 상황을 만들어놓고도 사퇴할 이유를 모르겠다고 하는 자체가 사퇴할 이유"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의총장에서 유 원내대표가)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력히 주장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번 사안을 표결에 부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를 표했다. 김 의원은 "가급적 표 대결까지 가는 건 당내 갈등을 더 확대시킬 수 있고 후유증이 있을 수 있어 개인적으로 거기까지는 안갔으면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간 양 계파는 표결 결과에 따라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가 정치적 타격을 입는 한편 이에 따라 당의 내홍이 깊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안을 표결에 부치는 것을 조심스러해왔다. 특히 친박계는 당내 소수라는 점에서 표결은 세싸움에서 밀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있어왔다.
앞서 비박계는 9시에 열릴 예정이었던 의총 한 시간 전에 의원회관에서 만나 의견을 공유했다. 모임에 참석했던 박민식 의원은 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러 이야기가 있었지만 의총에서 각자 허심탄회하게 개탄없이 당의 진로에 대해 발언을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 사퇴 불가에 앞장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김용태 의원은 "여기서 유 원내대표를 찍어내면 다음에 대통령이 (또) 요구하면 어쩔 것이냐"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안을 표결에 부치는 데 대해 "반드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박계 모임에는 박 의원과 김 의원을 비롯해 황영철, 강석호, 김학용, 김성태, 신성범, 박상은, 이한성, 김세연 의원 등이 참석했다.
한편 이날 의총은 당초 예정 시작 시간이었던 9시를 넘긴 9시 15분경부터 열리고 있다. 김 대표는 8시 54분경 의총장 앞에서 기자들을 만나 질문 공세를 받았으나 "할 말 없습니다"라며 의총장으로 들어갔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거듭 요구해왔던 김태호 최고위원은 "먹구름이 지나면 맑은 하늘이 보일 겁니다"라고 말한 뒤 의총장으로 입장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